본문 바로가기
월간개벽 칼럼

상생칼럼 | “네가 공덕을 지어 운명을 바꾸었구나”

by 알라뷰 소녀시대 2016. 4. 27.
반응형

상생칼럼 | “네가 공덕을 지어 운명을 바꾸었구나”

안병주 / 교무녹사장, 안산상록수도장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고 새해가 밝아오는 때가 되면 지난 시간에 대한 회한과 함께 미래의 새로운 희망을 꿈꾸게 된다.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새해를 멋지게 수놓을 계획도 세우고 나름 다짐도 할 것이다. 대저 우리네 인생살이는 나 혼자가 아닌 남과 함께 어우러지면서 펼쳐지는 것이다. 따라서 한 세상 살면서 비록 작을지라도 남을 위해 덕을 베풀며 살아간다면 그 사람의 삶은 그만큼 풍성해지지 않을까? 여기 착한 마음으로 덕을 베풀어 자신의 운명을 새롭게 바꾼 아름다운 이야기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중국 당나라 때 명재상으로 이름을 날렸던 배휴裴休(791~870)라는 사람에게는 배탁裴卓이라는 쌍둥이 동생이 있었다. 두 형제는 아주 어릴 때 부모가 죽게 되어 외삼촌 집에 맡겨져 자라게 되었다. 배휴는 키가 매우 작았고 게다가 너무 못생겨서 아무도 그를 가까이하려 하지 않았다. 동생 배탁은 얼마 지나지 않아 외삼촌집이 싫다고 집을 나가버렸다. 남겨진 형 배휴는 어느날 탁발하러 나온 도승과 외삼촌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엿듣게 된다. 도승이 말하기를 “저 아이는 ‘업덩어리’라 집안에 있으면 이 집안이 망하게 될 것입니다.”라고 했다. 배휴는 그 말을 듣고 어린 마음에 크게 상심하여 그 길로 집을 나와 버렸다. 자신이 비록 빌어먹고 살더라도 집안을 망하게 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배휴는 집을 나와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다가 어느 우물을 찾아갔다. 너무 배가 고파 물배라도 채울 심산이었다. 허겁지겁 물배를 채우고 주위를 살펴보니 아주 값지게 생긴 옥띠 하나가 눈에 띄었다. 그것을 본 배휴는 ‘옥으로 만든 비싼 허리띠인데 이 귀한 물건을 잃어버린 주인은 얼마나 가슴이 아플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주인을 찾아주고 싶은 착한 마음에 우물가에서 사흘 밤낮을 꼬박 지키고 있었다. 그가 허기진 몸으로 사흘을 기다리고 있는데, 어떤 할머니가 헐레벌떡 뛰어와서 다급한 목소리로 “혹시 여기서 옥띠를 못 보았느냐?”고 물었다. 사연을 들어본즉 자기 아들이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하고 있는데 이제 곧 죽을 목숨이라 재판관에게 그 옥띠를 바쳐 자식을 살리려 한다는 것이었다. 이 할머니는 절에 가서 정성을 드리려고 목욕을 하는 사이 옥띠를 벗어 놓았다가 그만 깜박 잊어버린 것이다. 이제 사흘이 지나 누군가 가져갔으려니 하고 낙심천만하였으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달려온 것이다. 배휴가 사흘 밤낮을 고이 지키고 있다가 옥띠를 내줬으니 얼마나 고마웠겠는가? 할머니가 배휴에게 사례를 하려고 하자 배휴는 “본래 할머니 것을 할머니가 가져가는데 무슨 사례입니까. 이제 무고한 아들을 살리게 되었으니 그저 천만다행입니다.” 하고 정중히 사양하고 돌아섰다. 이후 배휴는 계속 걸식을 할 수 없어 다시 외삼촌 집으로 돌아왔다. 그렇게 외삼촌과 함께 살고 있던 어느 날 과거의 그 도승이 마을을 지나다가 다시 배휴를 만났다. 그를 보더니 외삼촌에게 “이 아이가 나중에 훌륭한 정승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아니 전에는 집안을 망쳐먹을 ‘업덩어리’라더니 이제는 ‘정승’이 될 아이라니? 아이의 운세가 갑자기 바뀌었다는 것이다. 외삼촌이 조카에게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물었다. 배휴가 옥띠 찾아 준 얘기를 했더니, 도승이 말하기를 “그래, 네가 그 공덕을 지어 너의 운명을 바꾸었구나!" 라고 하였다. 배휴의 운명이 이렇게 바뀌게 된 것은 옥띠를 찾아 준 것이 덕이 되어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죽게 된 한 사람의 소중한 생명을 살려 주었기 때문이리라. 아니나 다를까 배휴는 도승의 말대로 나중에 명재상이 되어 백성을 잘 다스리고 나라를 크게 흥왕시켰다.

증산 상제님께서는 “공은 포덕布德보다 더 큰 공이 없느니라.”(8편 24장)하셨다. 가을의 추살기운으로 다 죽을 수밖에 없는 세상 사람들을 상제님 진리로 살려내는 것이야 말로 무량의 공덕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 일꾼들의 운명도 포교를 하면 할수록 새롭게 바뀌게 된다. 우리가 ‘살릴 생生자 공부’를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한편 어릴 때 헤어진 동생 배탁은 어떻게 되었을까? 재상이 된 형 배휴는 어느 날 나랏일로 황하를 건너게 되었다. 때마침 무더운 여름이라 뱃사공이 웃옷을 벗어부치고 노를 젓는데, 사공의 등에 자기와 똑같이 커다란 반점이 있는 게 아닌가. 혹시나 자기 동생이 아닐까 해서 “네가 혹시 배탁이 아니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예, 그렇습니다. 제가 바로 배탁입니다.”하고 대답하는 게 아닌가. 배휴는 꿈에도 잊지 못했던 동생을 천우신조로 다시 만난 것이다. 형은 감격하며 “이제야 널 찾았구나! 내가 바로 너의 형이다.” 하면서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그런데 동생은 차분한 말투로 “예, 형님! 저는 벌써부터 형님이 이 나라 재상이 된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동생의 말에 형은 어리둥절하여 “아니, 그렇다면 어찌 그리 무정하게도 여태껏 이 형을 찾아오지 않았느냐?”고 했더니 동생의 말이 걸작이다. “전들 왜 형님을 뵙고 싶지 않았겠습니까. 그러나 제가 배운 것이라고는 노 젓는 일인데, 형님을 찾아가면 할 일 없이 저를 놀게 하고 먹여줄 터이니 사람이 그 짓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형님은 복을 많이 지어 이승에서 일국의 정승이 되었습니다만 저는 제 분수가 따로 있어 뱃사공이 되었는데 형님 덕을 나누어 얻어먹으며 살 까닭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래서 저도 다음 세상을 기약하며 나룻배 하나로 오가는 사람들의 물길을 건네주면서 복도 짓고 제 처지를 따라 구름 흘러가듯 산천을 벗 삼아 살아가고 있습니다.”라고 하는 게 아닌가. 이 말을 들은 형 배휴는 ‘내 동생이 세상을 반듯하게 살아왔구나. 일국의 재상인 나보다 네가 훨씬 낫구나!’라고 생각하며 크게 감동했다. 형 배휴는 당대에 명재상이 되었지만 그 동생 배탁도 세상의 모든 영달과 욕심을 초월한 고매한 인물이었다. 그는 재상의 지위에까지 오른 형을 결코 부러워하지도 않았으며 또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지도 않았다.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마음을 텅 비우고 한평생 청정한 마음으로 살았으니 그는 정말 한 고비 넘긴 멋진 인품의 소유자라 아니 할 수 없다.

상제님께서는 도전 9편 3장에서 “스스로 분수를 지켜 즐거워할 줄 알고 마음 닦는 공부를 잘하라. 정성스러운 마음이 잠시라도 끊어지지 않게 하며 날마다 더 널리 덕을 베풀기에 힘쓰라.”고 하셨다. 우리 일꾼들이 난법이 횡행하는 세파에 휩쓸리지 않고 오직 세상에 덕을 베풀며 뜻하는 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어떤 심법을 가지며 살아야 할까? 우선 첫째로 남 잘되게 하는 ‘상생의 마음’을 가지고 생명을 살리는 포교의 덕을 많이 쌓아야 할 것이다. 둘째로 우주의 가을정신은 의義이므로 ‘정의로운 마음’을 가지고 추상같은 절개와 지조를 지키며 충의로운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이다. 셋째로 지금은 원시반본原始返本하는 시대이므로 진리의 뿌리되시는 천지일월 사체四體 하나님과 자기 생명의 뿌리이신 부모, 조상님께 ‘보은하는 마음’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상제님 천하사를 하는 공인公人이요 무극대도를 닦는 도생道生으로서 한평생 이러한 인생의 계략을 잘 실행해 나간다면 진실로 멋진 천하사 일꾼이 될 것이다.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