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제(BCE6 ~ CE57)는 유방(BCE247~BCE195)이 세운 한(漢)나라가 멸망하여 혼란기에 처했을 때 민심을 수습하고 후한(後漢)을 건국한 군주이며, 28장은 광무제를 도와 나라를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운 28명의 명장이다.
도전(道典)을 보면, 증산 상제님께서는 28장을 불러 의통공사를 집행하신 기록이 나와 있는데, 이 28장은 어떤 분이며 이분들은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공을 이룬 분인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증산도 도전 4편 114장을 보면 이런 말씀이 있다.
무신년 여름에 상제님께서 경석의 집 서쪽 벽에 ‘28장(將)’과 ‘24장(將)’을 써 붙이시니 이러하니라.
二十八將
이십팔장
鄧禹 馬成 吳漢 王梁 賈復 陳俊 耿d
등우 마성 오한 왕량 가복 진준 경감
杜茂 寇恂 傅俊 岑彭 堅槿 馮異 王覇
두무 구순 부준 잠팽 견담 풍이 왕패
朱祐 任光 祭遵 李忠 景丹 萬修 蓋延
주우 임광 채준 이충 경단 만수 갑연
匹菽 E期 劉植 耿純 臧宮 馬武 劉隆
비동 요기 유식 경순 장궁 마무 유융
이어 공우의 왼팔을 잡으시고 소리를 높여 “만국대장(萬國大將) 박공우!” 하고 외치시거늘, 이후로 공우가 어디에 가든지 문밖에 나서면 어디선가 방포성(放砲聲)이 나더라. (道典 4:114:1~2, 4~5)
광무제는 누구인가?
한(漢) 멸망 후의 혼란
광무제 유수(劉秀)는 기원전 6년 12월에 제양(濟陽)에서 태어났다. 자는 문숙(文叔)이고, 한 고조 유방의 9세 손이다.
유수가 출생했을 당시 한(漢)나라는 그 운이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져 있었다. 왕권은 유명무실하였고 권력은 황실의 외척인 왕씨에게 있었다. 급기야 CE 8년 실권자 왕망(王莽)은 한나라를 멸망시키고 스스로 황제의 지위에 오르고, 이듬해 국호를 ‘신(新)’으로 정했다. 왕망은 정치 경제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수많은 제도개혁을 하였으나, 오히려 사회 혼란만이 가중되었다. 또한 세금과 부역이 감당할 수 없이 증가하고 천재까지 겹쳐 백성들은 갈수록 살기가 어려워졌다. 그러자 녹림군(綠林軍)과 적미군(赤眉軍) 등 농민봉기군이 각처에서 연달아 일어났다.
유수는 아홉 살에 고아가 되어 숙부 유량(劉良)의 집에서 자랐는데, 그에게는 유연(劉縯)과 유중(劉仲)이라는 두 형이 있었다. 유수는 22년에 형 유연 및 이통(李通) 등과 함께 완(莞)과 용릉(?陵)에서 봉기하였고, 후에 녹림군에 가담했다.
23년, 녹림군은 유현(劉玄; ?~25)을 경시제(更始帝)로 옹립했고, 유현은 왕망과의 결전을 준비했다. 이에 왕망은 왕읍을 총사령관으로 40만 대군을 출정시켰다. 태상편장군(太常偏將軍)에 임명된 유수는 3000명의 군사를 모아 곤양에서 맞서 싸우게 되는데, 유수의 뛰어난 용맹과 기지로 100배가 넘는 왕읍의 군사를 마침내 무찌른다. 이 전투로 수많은 시체가 강물의 흐름까지 막았다 하는데, 이것이 유명한 곤양전투이다.
곤양 싸움을 승리로 이끈 후 유연·유수 형제의 위망이 나날이 높아지자, 경시제 유현은 자신의 통치 지위를 튼튼히 하기 위하여 유연을 죽여버린다. 이 일은 유수에게 대단히 큰 영향을 주었다. 유수는 혼자 있을 때면 남몰래 울었으며 유현을 배반할 마음도 점점 더 깊어졌다. 그러나 유현의 신임을 얻기 위하여 유수는 상복을 입지 않고 음식과 언어 행동을 평상시와 같이 하였으며, 곤양전투에서 자신이 세운 전공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이런 유수의 태도를 보고 양심의 가책을 느낀 유현은 유수를 파로대장군(破虜大將軍)으로 임명하고 무신후(武信侯)에 책봉하였으며, 여러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수에게 하북을 순행하게 하였다. 유수는 이 기회를 이용해서 관리들을 살펴보고 왕망의 가혹한 정치를 폐하고 죄수를 석방하였으며, 관리나 백성들이 주는 예물을 일절 받지않아 민심을 크게 얻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수, 광무제로 등극하여 한(漢)왕조 재건
곤양대전 후 전의를 상실한 왕망은 결국 경시제의 부하에 의해 궁궐에서 죽음을 당한다. 그러나 아직 천하는 산동의 적미군과 하북지방 왕랑(王郞)의 삼대세력으로 나뉘어 있었다.
왕랑을 격파하라는 임무를 맡은 유수가 하북지방으로 향하던 중, 그는 일생의 가장 믿을 만한 신하를 얻게 되는데, 그가 곧 ‘등우(鄧禹)’였다. 후세 사람들은 등우를 포함하여 후한 건국에 공헌한 28명의 공신을 28장(將)이라 부르게 된다. 이후 유수는 농민봉기군을 진압하고 하북과 하남의 대부분 지역을 점령하면서 막강한 병력을 모았다. 이어 부하들의 간곡한 권유로 25년 6월, 호남에서 왕위에 올라 한(漢)왕조를 재건하고 연호를 광무(光武)라 하고 수도를 낙양에 정했다.
득롱망촉(得?望蜀)
경시제 유현은 적미군에게 참살당하고, 적미군은 유수에게 항복한다. 이어 유수는 촉(蜀)의 공손술(公孫述), 농서의 외효(튭浴) 등 할거세력들을 하나씩 제압해 나간다.
유수가 잠팽을 파견하여 감숙성의 외효를 공격할 때, 잠팽에게 조서를 내리는데, “두 성이 함락되면 곧바로 군사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가서 촉의 오랑캐를 쳐라.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어서 이미 ‘농을 평정하고도 다시 촉을 바라보는구나.’ 매번 군사를 전쟁터에 내보낼 때마다 내 머리카락과 수염이 하얗게 변하는구나.” 라며 자신의 심경을 술회하였다.
이것이 나중에 ‘인간의 욕심은 만족할 줄 모르고 끝이 없다’는 뜻으로 ‘득롱망촉(得?望蜀)’, ‘평롱망촉(平?望蜀)’ 줄여서 ‘망촉(望蜀)’의 고사성어가 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 말대로 유수는 촉지방의 공손술을 토벌하고 마침내 천하를 통일하니 수십 년의 전쟁은 막을 내렸다.
명군, 광무제
유수가 많은 영웅들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요인은 두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로 그는 원한을 가슴에 새겨두지 않고 각 방면의 인사를 단결시켰다. 유현의 대사마 주유(朱풰)는 유현에게 유연을 죽이라고 권고한 적이 있으며 유수의 하북 순행을 극구 방해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유수는 주유가 투항한 후 그를 평적장군(平狄將軍)으로 임명하고 부구후(扶溝侯)로 책봉하였으며, 후에는 소부(少府)에 봉하여 대를 이어가면서 벼슬자리에 있게 하였다. 또한 유수는 왕랑을 제거한 후, 일부 관리들이 왕랑과 결탁해서 남을 비방하는 내용을 적어올린 상소문 수천 건을 입수하였으나 여러 사람 앞에서 태워버림으로써 상소문을 올린 사람들의 두려워하는 마음을 안정시켰다.
둘째로 선정을 베풀어 민심을 얻었다. 하북으로 순행갔을 때 죄수들을 풀어주고 학정을 폐지하였으며, 군대의 규율을 엄하게 하여 추호도 범법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고 노비를 석방할 것과 노비에 대한 잔혹한 행위를 금지하라는 칙령을 여러 차례 반포하였다. 빈민들이 몸을 팔아 노비가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항상 구제미를 발급하고 조세와 요역을 경감시켰으며, 수리시설을 건설하여 농업생산을 발전시켰다. 진상품을 받지 않았고 ‘장례를 간소화해야 한다’는 등의 조치는 모두 백성들의 환영을 받았다.
전쟁으로 천하를 통일했지만 유수는 전쟁을 좋아하진 않았다. 통일 전에도 이미 군국병제를 폐지했고, 통일 후에는 국방에 관심을 두지 않아 나중에는 오히려 외적의 침략을 방어할 힘마저 없게 될 정도로 국방의 약화를 야기했다. 그러나 한왕조를 재건하고 황제권을 강화하며 민생을 보살폈던 광무제는 명군으로 칭송받았다. 57년 2월, 재위 33년 만에 63세를 일기로 생을 마친다.
광무제를 보필한 이십팔장
28장은 후한 광무제 유수가 정권을 수립하는데 큰 공을 세운 28명의 무장을 말한다.
28장은 하늘의 이십팔수(二十八宿)와 매우 깊은 관련성이 있다. 『후한서』 [두근전(杜根傳)]에 의하면, 고대에 천자는 위로 하늘의 이십팔수를 본받아 제후의 자리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제후가 천자를 위해 사방을 지키는 것은 하늘에 이십팔수가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것이다.
광무제 사후 황제의 자리를 이은 넷째 아들 명제(明帝) 유장(劉莊; 28~75)은 60년(永平 3년)에 28장을 추모하여 유명한 화가에게 명해 수도인 낙양에 위치한 남궁(南宮)의 운대(雲臺)에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이후 이들을‘운대이십팔장’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사실 후한을 개창할 때 유수를 도와 공을 세운 공신들은 대단히 많아 열후(列侯)에 봉해진 사람만도 1백여 명에 달했다.
유수는 개국공신들에게 크게 상을 내렸으나, 높은 지위를 줄 경우 나중에 황권을 위협한다는 사실을 알고 실권이나 실직(實職)을 주지는 않았다. 그래서 공신들 대부분은 낙양에서 열후의 신분으로 정기적으로 조회에만 참석했고, 등우, 이통(李通), 가복 등 소수 공신들만이 정사에 참가하였다. 또 외척 왕망이 한을 멸망시킨 것을 거울삼아 외척들의 지위를 높이지 않고 정사에 간여하지 못하게 했다. 마원(馬援) 같이 공훈이 큰 사람도 외척의 신분이라 운대이십팔장에 들어갈 수 없었다. 이로 볼 때 운대이십팔장은 공신들 중에서 공훈이 크되 외척의 신분이 아닌 사람들로서 광무제를 보필했던 사람들이라 할 수 있다.
광무제는 비록 공신들을 통제하였지만 매번 법을 굽혀 관용을 베풀었으며 작은 과실은 용서해주었다. 먼 지역에서 진귀하고 맛있는 음식이 진상되면 반드시 먼저 열후들에게 두루 하사하였으며 태관(太官, 황제의 음식과 연회 등을 담당)들에게도 남김없이 주었다. 이들 28장에 얽힌 몇 가지 일화를 소개한다.
운대주수(雲臺主帥), 등우
등우(鄧禹;2~58)는 이십팔장의 첫 번째 공신으로 ‘운대주수(雲臺主帥)’라고 불린다. 등우가 처음 유수를 만났을 때, “유수님의 위덕(威德)이 사해에 전해지는데 제가 촌척(寸尺)의 도움을 드려서 공명을 죽백(竹帛)에 남기고자 할뿐입니다.”라고 진심으로 말하였고 이에 유수는 그를 참모로 삼았다.
유수가 악양(樂陽)을 탈취했을 때, 등우는 이렇게 간하였다.
“바야흐로 지금은 온 천하가 혼란스러워 백성들은 명군을 생각하기를 갓난아이가 자애로운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로부터 흥함의 조건은 덕이 얇은가 두터운가에 달려있지 세력이 큰 가 작은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닙니다.”
등우는 유수보다 여덟 살이나 어렸으나 훌륭한 군지휘관이었으며 특히 인물을 꿰뚫어 보는 힘이 탁월하여 유수로 하여금 수많은 인재를 얻게 했다.
즉각 실행하고 반드시 공을 이루는, 오한
오한(吳漢; ?~44)은 강한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그와 정벌전쟁을 나갈 때면 광무제가 불안해서 항상 다리를 한쪽으로 기울여서 설 정도였다.
장수들은 싸움터에서 전세가 이롭지 못하면 대부분 놀라고 두려워해서 평상심을 잃는다. 그러나 오한은 태연히 병장기들을 정돈하고 병사와 관리들을 격동시켜 힘이 솟구치게 하였다.
한번은 광무제가 사람을 보내 대사마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보고 오게 하였는데, 싸울 때 쓰는 공격 도구를 수리하고 있다는 말을 보고받고는 감탄하며 말하였다.
“오공이 사람들의 뜻을 강하게 만들어, 그 위엄이 마치 한 적국처럼 무겁구나!”
매번 군사를 동원할 때마다 아침에 조서를 받으면 저녁에 바로 길을 떠났다. 항상 즉시 명을 실행할 준비를 하고 있어서, 따로 길 떠날 채비를 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직책을 맡으면 반드시 공을 이루고 임무를 끝마쳤다. 조정에 있을 때는 세밀하게 살피고 삼가고 진실한 것이 그의 자태와 용모에 나타났다. 한번은 오한이 출정할 때 아내가 뒤에서 전답을 산 일이 있었다. 오한이 전장에서 돌아와서는 아내를 꾸짖으며 말하였다.
“군사가 밖에 있어서 관리할 사람이 부족한데 어째서 전답을 이렇게 많이 산단 말이오!”
그러고는 구입한 전답을 형제와 친척들에게 모두 나누어주었다.
거침없는 마무
마무(馬武; ?~61)는 술을 좋아하고 도량이 크며 말을 숨기지 않고 거침없이 하였다. 술에 취하여 황제 앞에서 동열에 있는 대신들의 잘못을 힐책하였고, 조금도 거리낌 없이 그들의 단점과 장점을 말하였다. 광무제는 짐짓 그를 용서하고 웃으면서 즐거워하였다.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 경감
도전 8편 104장에 경감에 대한 말씀이 있다.
하루는 상제님께서 성도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속담(俗談)이 모두 성담(聖談)이요, 인생의 비결이니라.” 하시고 이르시기를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이라. 뜻있는 자는 한번 뜻을 세우면 평생을 한결같이 일관하여 필경에는 성취한다는 말이요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말로는 쉽지마는 어찌 쉽게 행하리오.” 하시니라. (道典 8:104)
광무제는 임치에 도착하여 친히 병사들을 위로하였는데, 많은 신하들이 모인 자리에서 경감을 일러 말하였다.
“옛날에는 한신이 역하를 쳐부수어 기초를 닦았고, 지금은 장군이 축아를 공격해서 뜻을 이루었는데, 이곳은 모두 제(齊)의 서쪽 경계이니 그 공이 서로 비견할 만하다. 그런데 한신은 이미 항복한 자를 습격한 것이고, 장군은 홀로 강한 적을 탈취한 것이라 그 공은 한신이 세운 것보다 훨씬 어려운 것이다.
장군은 이전에 남양에서 큰 계책을 세웠으며 항상 뜻이 커서 세상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뜻이 있으면 일은 마침내 이루어지는 법이다.”
오늘에도 우리가 자주 쓰는 격언인 ‘有志者事竟成(뜻이 있으면 일은 마침내 이루어진다)’이란 말은 원래 광무제가 경감을 일러 말한 것이다. 이외에도 왕랑과의 힘겨운 싸움 속에 쫓겨다닐 때 유수에게 콩죽을 끓여 대접하며 말없이 격려하였던 ‘풍이’는 대수(大樹)장군이라 불렸다. 이는 자신의 공로를 전혀 자랑하지도 내세우지도 않았던 성품 때문으로 부하들이 서로 휘하에 가려할 정도로 신망이 두터웠다. ‘구순’은 문무를 겸비하였고 사람을 잘 다루었으며 후일 병량 조달 등 유수의 창업을 배후에서 빈틈없이 지원하였다. ‘오한(吳漢)’은 호걸형의 우수한 장군으로 맹활약하였다. 왕랑 세력권의 지방 태수였던 ‘임광’은 왕랑에게 쫓기던 유수를 도와 왕랑에게 반기를 들었다.
28장은 신명계에서 가을개벽기에 인종씨를 추리는 실무책임자
도전(道典)에는 증산 상제님이 이십팔장을 내세워서 천지공사를 행하는 대목들이 있다.
어느 날 시루산에서 진법주를 외우시고 오방신장(五方神將)과 48장(四十八將), 28장(二十八將)을 들여세워 도수를 보시고는… (道典 1:78:9)
또 증산 상제님은 가을개벽 인종 대심판의 ‘만국대장(萬國大將)’, ‘신대장(神大將)’으로 박공우 성도를 임명하면서 대흥리에 있는 차경석의 집 서쪽 벽에 이십팔장과 이십사장을 써서 붙이고 공사를 보기도 하셨다(道典 4:114, 5:256). 신명계에서 박공우 성도의 사명은 ‘지구촌의 인종씨를 추리는 다가오는 대병겁기의 심판 대장’(道典 5:256:5 측주)이다. 도전에 의하면 이십팔장의 신장들은 박공우 성도를 중심으로 상제님을 호위하고 명을 집행하는 신병군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증산 상제님은 등우 마성 오한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각기 중국 일본 대한민국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십팔장 중에서 기록상 증산 상제님의 천지공사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만수신장인데, 그는 증산 상제님을 호위하는 신장이다. 태모님께서도 “상제님의 응기신(應氣神)은 만수(萬修)요”(도전 11:244:6)라는 말씀을 하신 바 있다. 그런데 만수에 대한 자료는 찾기가 어렵다.
상제님의 공사내용을 볼 때, 이십팔장의 성격은 다음 세 가지로 규정지을 수 있다.
첫째, 28장은 24장과 함께 신명계에서 가을 대개벽기에 지구촌의 인종씨를 추리는 실무 책임자이다.
둘째, 28장은 의통공사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데 증산 상제님은 1908년(무신년) 여름 대흥리에서 성도 28명 각각에게 칙서(勅書)가 들어있는 주머니를 주시며 28장에게 ‘의통공사’를 보셨다. 또한 이 해 6월에 24장과 함께 28장을 동원하여 ‘개벽기의 의통구호대 육임 조직공사’를 보기도 하셨다.
셋째, 28장은 24장과 함께 지구촌의 각 지역을 책임지는 주재신장이라 할 수 있다. 증산 상제님은 숙구지공사를 보실 때 전세계를 52개 광역으로 나누고 28장과 24장을 불러서 개벽기에 각 구역의 인종씨를 추리는 실무 책임자로 임명하셨다.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사공을 지낸 왕량 장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정관의 치라 불리우는 위징과 당태종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민족사학을 바로 세운 미수 허목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왜 주회암은 흠잡을 데가 없다고 하셨는가?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모든 창생들이 신선되길 바랬던 여동빈 呂洞賓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천하경륜의 대도를 세워 만세에 은덕을 베푼 강태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최익현의 일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우암 송시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한 광무제(光武帝)를 도와 난세를 바로잡은 경감장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범절을 확립한 유가의 창시자 공자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동방 단가문자를 집대성한 권극중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우주의 시간법칙을 밝힌 소강절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유불선의 뿌리, 신교를 밝힌 고운 최치원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광무제와 28장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최풍헌과 임진왜란에 얽힌 이야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소하의 덕과 '언덕(言德)’의 진정한 의미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안될 일을 되게 한 손빈의 지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배은망덕으로 나라를 그르친 대죄인, 안록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만고명장 전명숙全明淑의 큰 공덕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불운한 천재 구봉 송익필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입산 3일에 천하의 모든 일을 알게 된 정북창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가을우주의 이치를 밝힌 '정역正易'과 김일부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중국의 실질적 마지막 황제, 광서제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인간으로 오신 하느님을 가장 먼저 모신 백복남 성도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지상과 천상에서 무한한 공덕을 쌓은 이마두利瑪竇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관운장의 정의로운 삶과 운장주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인류문명의 새벽을 연 한민족의 시조, 태호복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상제님의 강세를 전한 죄수운 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미륵불 강세한 준비한 진표율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성인열전]-의로움의 상징 관운장(關雲長)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천하를 경영한 인물의 표상 강태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동서양 문화를 하나로 연 위대한 종교인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조선의 주자(朱子)가 되기를 꿈꾼, 우암 송시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상제님의 강세와 새 시대의 도래를 알린 최수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선교의 맥을 이은 장군 강감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미륵님을 세상에 전한 진표眞表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선농단에서 경농의 신, 신농씨를 만나다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독립의사 안중근(安重根)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를 잇는 개척開拓과 창업創業 주周 문왕과 무왕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용인술의 천재 유 씨네 막둥이의 득천하기得天下記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삼국시절이 돌아갈 곳을 안 한 사람, 사마소司馬昭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정관성세를 연 범안간쟁(주1)의 화신, 위징魏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구도인의 표상 진표眞表의 미륵불 친견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신유학을 완성한 진정한 스승, 주회암朱晦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천선경 건설의 대문명신大文明神 진묵대사震默大師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천 지상선경 건설의 주벽 절대신앙의 화신 마테오 리치 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비운의 천재 용호대사 정북창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격랑 속의 초인, 대한남아의 기개를 떨친 안중근安重根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시천주侍天主 시대를 연 동학東學 교조, 대신사 수운 최제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백성을 위해 한번 죽기로 맹세한 백의한사 전명숙(주1), 만고명장이 되다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역사의 뒤안길에 가려진 비운의 천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황혼의 제국에 드리워진 빛의 실마리 청나라 광서제光緖帝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1)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2)
'증산도 도전(道典) >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고명장 전명숙全明淑의 큰 공덕 (0) | 2014.11.17 |
---|---|
배은망덕으로 나라를 그르친 대죄인, 안록산 (0) | 2014.11.17 |
안될 일을 되게 한 손빈의 지략 (0) | 2014.11.17 |
소하의 덕과 ‘언덕(言德)’의 진정한 의미 (0) | 2014.11.17 |
최풍헌과 임진왜란에 얽힌 이야기 (0) | 2014.11.17 |
유불선의 뿌리, 신교를 밝힌 고운 최치원 (0) | 2014.11.17 |
우주의 시간법칙을 밝힌 소강절 (0) | 2014.11.17 |
동방 단가문자를 집대성한 권극중 (0) | 2014.11.17 |
범절을 확립한 유가의 창시자 공자 (0) | 2014.11.17 |
후한 광무제(光武帝)를 도와 난세를 바로잡은 경감장군 (0) | 201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