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구촌개벽뉴스

세계는 지금 / 중국 북경 스모그 적색경보 발령 / 세계 195개국 '파리협정'채택

by 알라뷰 소녀시대 2017. 12. 15.
반응형

세계는 지금 / 중국 북경 스모그 적색경보 발령 / 세계 195개국 '파리협정'채택

2016년 1월호

중국 북경 스모그 적색 경보 발령 기준치 40배의 스모그에 갇혀


지난 12월 7일 오후에 중국 베이징北京시 기상대는 사상 처음으로 스모그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이미 11월 29일에 주황색 경보를 발령한 지 약 1주일 만이다. 중국의 스모그 경보는 가장 심각한 순서로 적색·주황색·황색·청색 등 4단계로 구분된다. 적색경보는 PM 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 농도가 200㎍/㎥ 이상인 ‘심각한 오염’ 상황이 3일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할 때 발령한다. 베이징 당국은 적색경보 기간 자동차 홀짝제를 강제로 실시한다. 공무 차량도 30%만 운행한다. 유치원을 포함한 초·중·고교에는 휴교를 권고했다. 모든 공장은 스모그 농도에 따라 가동 시간을 줄여야 한다. 각 기업은 탄력 출퇴근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공사장은 문을 닫아야 하며 건축 폐기물이나 모래·자갈 등을 실은 트럭의 시내 진입도 차단된다. 지난주 중국 수도권은 닷새 넘게 스모그에 갇혔으며, 스모그 최대 농도가 1000㎍/㎥에 육박했다. WHO 기준치의 40배에 해당한다. 당시 중국 네티즌은 “스모그로 낮이 밤이 됐는데 적색경보가 아니면 언제 적색을 발령할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중국의 도시 곳곳이 스모그로 몸살을 앓고 있다. 장쑤성과 이웃한 중국 최대 도시 상하이에선 이달 초 초超미세 먼지 농도가 공기 ㎥당 627㎍(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까지 올라갔다. 바로 눈앞 고층건물도 간신히 윤곽만 보일 정도다. 지난 10월 초미세 먼지 농도가 1000㎍을 돌파했던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선 ‘손을 죽 뻗어봤더니 손가락이 잘 구분 안 되더라’는 말까지 떠돌았다. 쓰촨 성 청두에서는 스모그 환자 전문병원이 생겼다. 중국 환경보호부는 “중국 대도시의 스모그 원인이 각각 다르다”며 “베이징北京·항저우杭州·광저우廣州·선전深圳은 자동차 배기가스, 스자좡石家莊과 난징南京은 석탄, 톈진天津은 각종 분진, 닝포寧波는 공장 매연이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11월 15일 환경 전문가들이 작성한 ‘중국 환경보고서’를 인용해 “최악의 환경오염을 겪는 세계 10대 도시 중 7개가 중국 도시” 라고 보도했다. 도시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징北京·충칭重慶·광저우廣州·구이양貴陽·타이위안太原·란저우蘭州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보고서는 중국 500개 도시 중 세계보건기구(WHO)의 환경기준치를 충족시킨 도시는 1%인 5개도 안 된다고 밝혔다. 또 중국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해마다 GDP(국내총생산)의 1.2%에 달하는 6000억 위안(108조 원)의 경제적 손실을 본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질병 치료를 위해 사람들이 추가로 부담할 의사가 있는 비용까지 감안하면 중국 GDP의 3.8%인 1조9000억 위안(342조 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한편 극심한 스모그 문제 해결을 위해 물대포까지 등장했다. 후난성湖南省에서는 스모그 제거를 위해 길이 2.3m 구경 1.2m의 물대포를 만들었다. 물을 안개처럼 뿜어내 공중의 미세 먼지를 씻어낸다는 것이다. 물론 그 실효성은 미지수다. 스모그로 예술 작품을 만든 예술가도 나왔다. 홍콩 언론 ‘명보明報’에 따르면 중국의 한 무명 예술가가 100일 동안 베이징 시내 곳곳에서 진공청소기로 채집한 스모그를 압착시켜 실제 벽돌 크기의 작품인 ‘먼지 벽돌’을 만들었다고 한다. 비나 눈이 오는 날을 제외하곤 꼬박꼬박 거리에 나가 먼지를 모았고, 그렇게 100일 동안 모은 먼지를 굳혀서 지난 11월 29일 실제 벽돌과 유사한 모양의 ‘먼지 벽돌’을 완성했다. 100일간 모은 스모그는 1,550명이 하루 동안 마신 분량인 셈이다. 그는 명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사는 도시는 자동차와 화학공장이 둘러싼 장소가 되어버렸다. 이렇게 계속 먼지를 만들어내고, 자원을 소진하다가는 어느 순간 우리 자신이 먼지가 될지도 모른다”고 했다.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되기가 어려워 보인다. 중국 공기가 오염된 것은 석탄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중국은 에너지의 68%를 석탄에서 충당하는데 2011년 소비량이 38억t이었다. 세계 5분의 1 인구가 전 세계 석탄 소비량 47%를 소모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에는 석탄발전소가 2,300개 있다. 중국 신화사 산하의 경제전문지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는 경제 발전 방식의 전환을 주문했다. 이 매체는 “이번 스모그 사태가 ‘높은 오염, 높은 에너지 소모, 높은 탄소 배출’에 기반을 둔 중국 발전 모델에 경종을 울렸다”며 “급속한 공업화로 생태계가 지탱할 수 있는 것보다 배나 많은 자원을 쓰는 ‘생태 적자赤字’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

지구 온도 상승폭 2℃보다 낮게 세계 195개국 ‘파리 협정’ 채택


지난 12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195개 국가들이 만장일치로 온실가스를 줄이는데 합의한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했다. 1997년의 ‘교토 의정서’를 18년 만에 대체하는 새로운 기후협약 체제다. 교토의정서는 선진국 중에서도 온실가스 대량 배출국인 미국은 비준을 거부했고, 일본·캐나다·러시아·뉴질랜드 등이 잇따라 탈퇴하거나 기간 연장에 불참했다. 그러나 파리협정은 온실가스 배출 1, 2위인 중국과 미국은 물론 전 세계 국가의 실질적 참여를 이끌어냈다. 파리 협정은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가 지키기로 합의한 것이라는데 큰 의미가 있다. 파리 협정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일방적으로 할당한 교토 의정서와는 달리 회원국들이 자발적으로 실천 계획을 제출하는 방식이다. 

이 협정에 대해 영국 일간 가디언 지는 “화석연료 시대의 종언을 고하는 첫걸음”이라 했고 제프리 삭스 미 컬럼비아대 대 교수는 “역사적인 지구적 협상의 산물” 등으로 호평했다. 이번 파리협정은 오는 2020년 말 교토의정서가 만료되는 직후인 2021년 1월부터 적용된다. 파리협정은 ‘지금부터 이번 세기 말인 2100년까지 지구 기온의 상승폭을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섭씨 2도보다 훨씬 낮추고(well below 2℃) 더 나아가 1.5도로 제한하도록 노력한다’고 제시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서 국가나 가난한 국가들이 요구해 온 사항이다. 또한 온실가스배출량을 꾸준히 감소시켜 2050년부터 2100년까지 어느 시점부터 인간활동으로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이 나무, 해양 등 자연이 흡수하는 양보다 적도록 하게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온실가스를 좀 더 오랜 기간 배출해온 선진국이 더 많은 책임을 지고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선진국 등이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약 118조 원)를 조성하는 목표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협정은 구속력이 있으며, 2023년부터 5년마다 당사국이 탄소 감축 약속을 지키는지도 검토하기로 했다. ‘섭씨 2도’는 국제사회에서 ‘지구의 운명을 가를 마지노선’으로 인식돼 왔다. 기후 전문가들은 그동안 “섭씨 2도를 넘으면 해수면 상승 등 세계 도처에서 진행되는 기후변화 양상이 더 심각해져 지구가 파국을 맞을 수 있다”고까지 경고해 왔다. 현재 지구 기온은 산업혁명 시기 대비 0.85도 상승한 상태다. 이번 협정은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섭씨 2도’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이번 파리협정이 “공허한 약속”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들린다. 유엔에 따르면 각국이 이번 총회에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이 모두 이행되더라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570억t에 달하면서 이번 세기말까지 2.7도 이상 기온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세부 수단과 일정 등을 제시하지 못했다. 회원국이 감축 목표를 지키지 못해도 제재할 수단이 없다. 다만 분명한 건 감축 목표를 제시한 뒤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5년마다 검증할 때 국제사회의 비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대한민국의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7위다. 온실가스 감축 압력에서 벗어날 수 없는 처지다. 지난 6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BAU) 대비 37% 줄이겠다’고 발표한 우리나라는 산업별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마련, 내년 중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37% 중 25.7%는 산업계 등 국내에서 감축하되, 11.3%는 해외에서 배출권을 매입해 충당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연간 수조 원씩의 국민 세금이 들 것으로 보여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우주의 여름철 극점에 살고 있는 지금 지구 온난화 현상은 필연적 현상이다. 여기에 더해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구축한 과학 기술 문명 역시 온난화에 일조를 해 왔다. 앞으로 가을개벽으로 열리는 새 세상은 인간과 자연이 호흡하고 상생하는 조화의 세상이다. 생활과 문명 전반에 걸쳐 생태, 환경 중심으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어져야 한다. 환경 기술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선도적인 조치가 필요해진 시점이다.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