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성씨23

한국의 성씨 | 봉奉씨 한국의 성씨 | 봉奉씨하음河陰 봉奉씨 시조 봉우의 묘소와 신도비우리나라 봉奉씨는 하음·함흥·풍기·진주·연안·양성·강화 등 10여 본관이 있다. 2015년 인구조사에서 하음 봉씨 7,688명, 강화 봉씨 4,165명을 합쳐 봉씨의 인구는 11,853명이었다. 그 밖에 강화 봉씨 약 2,500명, 함흥 봉씨 약 400명, 진주 봉씨 약 390명, 풍기 봉씨 약 150명, 양성 봉씨 약 140명이었다. 문헌에는 10여 본관이 있으나 모두 하음 봉씨에서 분파된 세거지 명이라고 한다. 하음은 강화도 하점면의 옛 이름이다. 하음 봉씨는 고려 인종 때 위위시경衛尉寺卿을 지내고 좌복야左僕射에 봉해진 봉우奉佑를 시조로 하고 있다. 「하음봉씨을축세보河陰奉氏乙丑世譜」 서문에 보면 그의 출생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2019. 1. 9.
한국의 성씨 | 부夫씨 한국의 성씨 | 부夫씨제주 부夫씨 시조는 부을나, 중시조 부언경부夫씨는 탐라耽羅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부을나夫乙那로부터 시작한다. 제주도 한라산 북쪽 기슭에 있는 모흥혈毛興穴에서 솟아나왔다는 삼신인三神人 중의 한 분이 부을나이다. 그 이후 삼성인(고高·양梁·부夫)이 제주의 세 지역에 정착하여 9백 년 동안 탐라耽羅를 분할 통치하다가 인심이 고씨에게 모아져서 고씨가 임금이 되어 탐라국耽羅國(혹은 탁라乇羅)을 세웠다고 한다(BCE 2337년경). 부을나 이후 문호가 열리게 된 부씨는 #부계량夫繼良#이 신라 무열왕 때 안무사安撫使(백성을 잘 보살펴 나라의 시책에 따르게 하는 임시 벼슬)로 신라를 예방하여 외교를 트고 신라왕으로부터 왕자작王子爵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에 앞서 백제가 군사를 일으켜 탐라를 침.. 2018. 11. 1.
한국의 성씨 | 견甄씨 한국의 성씨 | 견甄씨황간黃磵 견甄씨·상주尙州 견甄씨 시조는 아자개「조선씨족통보」와 각종 문헌에 의하면, 견씨의 본관은 남양南陽, 상주尙州, 청양靑陽, 전주全州, 남원南原, 경주慶州, 안주安州, 선산善山, 황간黃磵 등 9본이 있는 것으로 전하나, 황간과 상주를 제외한 나머지 본관은 세거하는 지명이라고 한다. 상주 견씨와 황간 견씨는 같은 계통이다. 상주 견씨의 시조는 원래 이李씨였던 아자개阿慈介로 전하며, 그의 아들 견훤甄萱이 황간 견씨의 시조이다. 견훤의 아버지인 아자개는 상주 가은현加恩縣 사람으로, 본래의 성씨가 이李씨였다. 농사를 짓다가 신라 말기에 사불성沙弗城(지금의 상주시)에 웅거하면서 스스로 장군이 되어 고을을 다스리는 호족이 되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견훤은 상주尙州 가은.. 2018. 9. 14.
한국의 성씨 | 궉鴌씨 한국의 성씨 | 궉鴌씨청주淸州 궉鴌씨 시조는 명나라에서 귀화한 궉시영우리나라 궉씨는 본관이 청주淸州, 순창淳昌, 선산善山 3본이다. 청주 궉씨의 시조는 궉시영鴌時永이다. 나머지 궉씨의 관향 유래, 시조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자 궉鴌은 봉황 봉鳳자의 고자古字 또는 이체자異體字로서, 성씨로 쓰일 때는 궉으로 읽는다. 시조 궉시영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원군으로 조선에 들어와 정유재란 때 귀화했다고 한다. 왜군과의 전투에서 부장副將으로 공적을 올리고 충성忠誠의 시호를 받았다. 조선 광해군 6년(1614) 실학자 이수광에 의해 간행된 「지봉유설」에는 “순창에 궉씨가 있는데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고 호성胡姓(오랑캐 성씨)이라고도 한다.”고 나와 있다. 1780년에 간행된 이덕무의 「앙염기盎葉記」에.. 2018.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