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성씨23

한국의 성씨 | 계桂씨 한국의 성씨 | 계桂씨수안遂安 계桂씨 시조 계석손桂碩遜 수안 계씨의 시조 계석손桂碩遜은 중국 명나라 천수天水 사람으로 중국 성양태수城陽太守를 지낸 계경횡桂炅橫의 셋째 아들이다. 「수안계씨족보」에 따르면, 계석손은 명나라에서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내다가 명나라 태조 홍무제洪武帝의 명으로 조선에 예학禮學 전수를 위해 파견되었다. 그 후 조선에 귀화하여 수안백遂安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이로써 수안 계씨가 창성되었다. 시조 계석손의 아들 4형제 대에서 전국으로 이거하였다. 큰 아들인 계원우桂元祐는 선천宣川으로, 둘째 아들인 계원조桂元祚는 강화江華로, 셋째 아들 계원제桂元禔는 강동江東으로 각각 이주하였다. 이후 16세손 계덕룡桂德龍이 삭주朔州에 터를 잡았고 그 자손은 의주義州까지 퍼져 가서 계씨가 평안도를 중심으로.. 2017. 5. 18.
한국의 성씨 | 온溫씨 한국의 성씨 | 온溫씨 봉성鳳城(金溝) 온씨 온씨의 기원온씨 성의 기원은 주나라 성왕成王의 아우로 당唐에 봉해진 숙우叔虞의 12세손 소후昭候가 그의 아우 사師를 온溫에 봉하고 평원平原에 도읍을 정하게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온씨가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바보장군으로 유명한 온달이 시조이다. 그는 고구려 평원왕의 사위로 어릴 때 살림이 구차하여 구걸로 어머니를 봉양하였고, 남루한 옷차림이어서 ‘바보 온달’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평원왕의 반대를 무릅쓰고 평강공주와 결혼, 후주의 무제군을 요동 땅에서 깨뜨렸다. 그 뒤 영양왕 때 신라에게 빼앗긴 한강 북쪽의 아차산성을 되찾고자 출정했으나 전사하고 말았다. 온씨의 변천온달 이후 우리나라 온씨의 계대가 불분명하다. 이어 신라 무열왕 때 .. 2017. 2. 11.
한국의 성씨 | 밀양密陽 손孫씨 한국의 성씨 | 밀양密陽 손孫씨 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15년의 조사에서는 성씨의 개수가 5582개로 크게 늘어났다. 이중 한자로 이루어진 성은 1507개이고, 한자가 없는 성은 4075개나 된다. 본관은 3만6744개로 조사되었다. 이중 밀양 손씨는 인구수가 306,895명이었다. 한편 손씨 전체 인구는 457,303명이었다. 손씨의 유래 시조에 얽힌 이야기삼국유사에 의하면 옛날 진한辰韓땅에 육촌六村이.. 2017. 2. 11.
한국의 성씨 | 문화文化 류柳씨 한국의 성씨 | 문화文化 류柳씨우리나라 성姓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문화 류씨는 모두 87186가구에 총 28만 408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씨별 인구 순위가 나주 임씨에 이어 29위이다. 우리나라의 류씨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 「문화류씨통사」에 의하면 문화 류씨가 국사國史나 공가문헌公家文獻에 처음 등재된 것은 ‘고려사高麗史’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이라고 한다. 고려사 열전에 등재된 문간공文.. 2016.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