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상종도사님 말씀/주제별 말씀

큰 부자는 하늘에 달려 있고, 작은 부자는 근면에 달려 있느니라.

by 알라뷰 소녀시대 2014. 11. 11.
반응형

대부大富는 유천由天하고
소부小富는 유근由勤이라
 
 이 세상 역사가 있은 이후로 동양이건 서양이건 사람 뚜겁을 쓰고 난 사람 쳐놓고 누구도 다 똑같이 부귀영화를 꿈꿨다. 남자건 여자건 부귀영화를 꿈꿨다. 그게 사람의 전부다. 누구도 그렇다. “나도 부자가 되고 귀한 사람도 되고 부귀를 해서 영화를 누리고 한 세상을 좀 잘살아 보자.” 여기 있는 사람들도 똑같다. 
 
 “나도 부귀영화를 좀 누리고 싶다.” 이게 아니라고 하는 사람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그런데 부귀영화가 그냥 되는가. 묶어서 얘기하면 사람은 제 행동을 뜯어먹고 산다. 부귀영화가 그냥 되는 게 아니다. 하루 가서 노력하면 하루 품삯을 받는다. 기술 가진 사람은 기술 품삯이니까 비쌀 게고, 막노동을 하면 품삯이 쌀 게고. 또 부자 되는 것도 소부(小富)는 재근(在勤)이요 대부(大富)는 재천(在天)이다. 
 
 농업국가로 말하면, 옛날 세상에 개똥 오쟁이라고 있었다. 오쟁이를 지고 개똥을 주우려 해도 식전에 부지런히 다녀야 한다. 아주 일찍 나가서 주워야 딴 사람한테 뺏기지 않거든. 그렇게 해서 거름을 잘할 것 같으면 쌀 한 톨이라도 더 낼 수 있잖은가. 
 
 그렇게 작은 부자는 부지런한 데에 달려 있고, 큰 부자는 좋은 운이 뒤따라야 되는 것이다. 
 
 내가 자꾸 봉사해라, 공도(公道)다 라는 얘기를 하는데 공 떠난 사도 없고 사를 떠난 공이 없다. 봉사를 할 것 같으면 그 공이 내게로 온다. 내가 잘되기 위해서라도 상제님 사업에, 천지에 공을 쌓아야 한다.
 
 그러면 그 공이 99.9%만 돌아오는 게 아니다. 100% 다 그대로 돌아온다. 누가 0.1%도 떼 가는 사람도 없다. 떼 갈 도리가 없지. 그걸 어떻게 뺏어가나? 
 
 하니까 내가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서도 상제님 사업에 다 바쳐야 한다. 유형과 무형을 다 바치라고 하니까 이해가 안 될 것 같아서 내가 설명을 해주는 것이다. 
 
 공도를 위해 봉사를 해도 그게 다 내게로 차례가 오는 것이다. 그러니 봉사정신을 가지고 하든지 내 개인을 위해서 하든지, 상제님 사업은 세상 말로 과연 참 살맛나는 사업이다. 근래 젊은 측에서 그런 말 쓰지 않는가? 살맛나는 사업. 하니까 전부를 다 바쳐서 최선을 다해라.
 
 
 

『명심보감(明心寶鑑)』 「성심편(省心篇)」


 子曰 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자왈 사지어도이치악의악식자)는 未足與議也(미족여의야)니라
 공자가 말하기를, 선비가 도에 뜻을 두면서 
 나쁜 옷과 나쁜 음식을 부끄러워하는 자와는 
 서로 더불어 ‘도’를 의논할 수 없다 하니라.
 
 荀子曰 士有妬友則賢交不親(순자왈 사유투우즉현교불친)하고 君有妬臣則賢人不至(군유투신즉현인부지)니라 
 순자가 말하기를, 선비에게 질투하는 벗이 있으면 어진 이가 가까이 하지 않고, 
 임금에게 질투하는 신하가 있으면 어진 사람이 오지 않는다 하니라. 
 
 天不生無祿之人(천불생무록지인)하고 地不長無名之草(지부장무명지초)니라
 하늘은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기르지 않느니라. 
 
 大富(대부)는 由天(유천)하고 小富(소부)는 由勤(유근)이니라
 큰 부자는 하늘에 달려 있고, 작은 부자는 근면에 달려 있느니라.
 
 명심보감明心寶鑑 『명심』이란 명륜(明倫) 명도(明道)와 같이 마음을 밝게 한다는 뜻이며, <보감>은 보물과 같은 거울로서 교본이 된다는 뜻이다. 2권 1책. 목판본과 석판본 등 10여 종이 있다. 고려 충렬왕 때 예문관제학을 지낸 추적(秋適)이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만든 청소년 수신서(修身書). 20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주로 한문을 배우기 시작할 때 《천자문(千字文)》을 익힌 다음 《동몽선습(童蒙先習)》과 함께 기초과정 교재로 쓰였다. 내용은 경서(經書) 사서(史書) 제자(諸子) 시문집 등에서 가려 뽑은 것으로, 계선편(繼善篇) 천명편(天命篇) 등으로 되어 있었으나, 뒤에 증보편 효행편속(孝行篇續) 염의편(廉義篇) 권학편(勸學篇)을 증보한 것도 있고 팔반가(八反歌) 1편을 보강한 증보판도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