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B 상생 방송62 후천 조화선경 건설의 구심점 가가도장 후천 조화선경 건설의 구심점 가가도장家家道場 [말씀요약] 오늘 전할 말씀은 가가도장家家道場의 성숙 문제이다. “후천 선경세계는 가가도장家家道場이요, 인신합덕人神合德으로 인인人人이 성신聖神 되어 만백성이 성숙하고 불로장생하는 무궁한 조화낙원이라.” 이 한 말씀 속에 후천 5만 년 지상 선경낙원 건설의 대의와 사명이 다 들어 있다. 모든 일꾼의 가정이 성스러운 구도장으로 자리잡아 명실상부한 가가도장을 이루는 것이 상제님 천지대업을 성취하는 출발점이 된다. 가정도장家庭道場은 상제님 천하사 의통 집행의 사령탑이며 후천 5만년 가을 새 문화의 출발점, 후천 조화선경 건설의 구심점이 되는 곳이다. 가가도장 구축을 위한 실천 과제로 중요한 것은 가족들과 꾸준히 대화를 하면서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인류사의 근원 중심.. 2015. 1. 14. 한자(漢字)는 원래 우리글[韓字]이다 언어는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아마도 태초에 먼저 말이 있었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서 문자가 발생했을 것이다. 개체발생은 계통발생을 반복한다는 말이 있다. 아이들이 말과 글을 배워가는 과정을 보면, 인류 역사에 문자가 발생하고 진화해온 과정을 상상해볼 수도 있겠다. 추측컨대, 문자는 아마도 먼저 그림문자의 단계를 거쳐 점차 추상화되고 소리의 변화와 결합하는 가운데 글자로서 완성되었을 것이다. 우리 민족에게는 본래 음양일체로 두 개의 문자가 있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한글만이 우리의 글이며, 한자(漢字)는 중국의 글이라고 알고 있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표의문자인 한자(漢字)는 원래 한자(韓字)이며, 표음문자인 정음(正音)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두개의 문자 가운데.. 2014. 11. 23. 선교의 맥을 이은 장군 강감찬 박수영 / 객원기자 귀주대첩(龜州大捷)으로 잘 알려져 있는 고려의 명장 강감찬(姜邯贊)은 우리나라 선맥(仙脈)을 인물별로 정리한 『해동이적(海東異蹟)』이란 책에 이름이 올라간 인물 중 한분입니다. 강감찬 장군의 놀라운 행적을 따라가 볼까요? 강감찬(948~1031)은 누구인가? 강감찬(姜邯贊)은 고려의 문신입니다.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강궁진(姜弓珍)의 아들로 금주(지금의 낙성대)에서 고려 제3대 정종 948년 11월 19일에 태어났습니다. 983년(성종 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임헌복 시(任軒覆試)에서 갑과에 장원한 뒤 관직에 올라 예부시랑이 되었습니다. 그 뒤 국자제주(國子祭酒), 한림학 사, 승지, 중추원사, 이부상서를 역임했고 1018년 서경유수와 내사시랑평장사를 겸했습니다. 사후에는 수.. 2014. 11. 17. 안될 일을 되게 한 손빈의 지략 나상민 _수원 매교도장 우리는 왜 역사를 중시하는가? 역사를 통해 오늘을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제님께서는 역사 속의 두 실존 인물인 손빈과 방연에 대해 이렇게 말씀해 주고 계신다. 안 될 일을 되게 하고 될 일을 못 되게 하는 것이 일꾼이니라. 모든 일을 알기만 하고 변통(變通)을 못 하면 모르는 것만 같지 못하느니라. 손빈(孫?)은 방연(龐涓)으로 하여금 해 질 무렵에 마릉(馬陵) 땅에 이르게 하였느니라. 너희들은 폭 잡히면 일을 못 하느니라. 내가 하는 일은 세상에서 폭 잡히지 않느니라. (道典 8:99) 중국 전국시대의 손빈과 방연에 얽힌 역사 이야기를 통해 상제님이 깨우쳐 주고자 하신 가르침의 참뜻을 살펴보자. 치욕을 이겨낸 손빈 손빈(孫?)은 손무의 후손으로, 제나라의.. 2014. 11. 1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