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상종도사님 말씀/주제별 말씀

만물 가운데 오직 사람이 가장 귀하다

by 알라뷰 소녀시대 2014. 11. 11.
반응형

 

天地之間천지지간 萬物之衆만물지중에 惟人유인이 最貴최귀라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의 무리 중에서 오직 사람이 가장 귀하다
 


 

천지는 천지의 이법에 의해서 주이부시해서 자꾸 둥글어가는 것이다. 천지는 생장염장(生長斂藏)이라 하는, 봄에는 물건 내고 여름철에는 기르고 가을에는 봄에 물건 내서 여름철에 기른 진액을 전부 뽑아 모아서 열매를 맺는다. 알캥이, 통일을 한다. 그리고 겨울이 되면 다시 폐장을 하고, 새봄이 되면 다시 또 새싹이 난다.
 
천지가 그렇게 둥글어가는 가운데에서, 인류의 모든 역사는 천지에서 매듭지은 것을 천지를 대신해서 사람이 추수를 한다. 사람 위해서 일 년도 있는 것이다. 우주년도 사람농사를 짓는 것이니 더 말할 것도 없다. 모든 문제는 전부 다 사람이 해결하는 것이다. 사람을 위해서 천지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은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 오행정기를 모두 타고 나왔다. 모든 만유라 하는 것은 금기(金氣)니 수기(水氣)니 목기(木氣)니 화기(火氣)니, 그런 음양오행 중 하나의 기운만 가지고 나온다. 쉽게 얘기하면 소[牛]는 북방 수기(水氣), 음기(陰氣)를 타고 나온 것이고, 말[馬]은 남방 화기(火氣)를 가지고 태어난다. 그래서 그런 것들은 전부 미완성품, 불완전한 것들이다.
 
하지만 사람은 오행정기를 모두 다 타고 나서 기거좌와(起居坐臥), 일어서고 거하고 앉고 눕고 모든 것을 내 마음대로 자유롭게 할 수가있다. 그래서 사람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한다. 정신자세도 그렇게 되어져 있다. 사람은 이해를 할 수 있는, 옳고 그른 시비곡직을 가릴 수 있는, 내가 잘못되면 반성할 줄 알고 고칠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 옳고 그르고 비꾸러지고 반듯하고, 스스로가 그걸 비판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옛날 고고학을 보면 이런 말이 있다. ‘천지지간(天地之間) 만물지중(萬物之衆)에 유인(惟人)이 최귀(最貴)라.’천지지간, 하늘 땅 사이에, 만물 가운데에 오직 사람이 가장 귀한 것이다.
 
사람은 천지의 대역자다. 천지지간에 만유의 생명을 관리하고, 필요에 의해서 사용을 하고, 천지를 대신해서 천지의 역사를 하는 것이 오직 사람이다.
 
 
 

『동몽선습(童蒙先習)』


天地之間(천지지간) 萬物之衆(만물지중)에 惟人(유인)이 最貴(최귀)하니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의 무리 중에서 오직 사람이 가장 귀하니
 
所貴乎人者(소귀호인자)는 以其有五倫也(이기유오륜야)라.
사람이 귀한 까닭은 다섯 가지 인륜이 있기 때문이다.
 
是故(시고)로 孟子曰(맹자왈) 父子有親(부자유친)하며 君臣有義(군신유의)하며 夫婦有別(부부유별)하며 長幼有序(장유유서)하며 朋友有信(붕우유신)이라 하시니
그러므로 맹자 말하기를, 어버이와 자식은 친함이 있고, 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으며,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고, 어른과 어린이는 차례가 있으며, 벗끼리는 믿음이 있다 하니,
 
人而不知有五常卽(인이부지유오상즉)其違禽獸不遠矣(기위금수불원의)라.
사람으로서 이 오상(五常)을 알지 못하면 그 날짐승과 길짐승에 다름이 멀지 않다.
 
然卽(연즉)父慈子孝(부자자효)하며 君義臣忠(군의신충)하며 夫和婦順(부화부순)하며 兄友第恭(형우제공)하며 朋友輔仁然後(붕우보인연후)에야 方可謂之人矣(방가위지인의)라.
그러니 어버이는 인자하고 자식은 효성스러우며, 임금은 의롭고 신하는 충성스러우며, 남편은 온화하고 아내
는 순하며, 형은 사랑하고 아우는 공경하며, 벗은 인(仁)을 도운 연후에야 바야흐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
『동몽선습』조선 명종 때 학자 박세무(朴世茂)가 저술하였다. 〈천자문〉을 익히고 난 후의 학동들이 배우는 초급교재로, 먼저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五倫)을 설명하였다. 이어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에서부터 명나라까지의 역대사실(歷代史實)과 한국의 단군에서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이 책의 중요성을 깨달은 영조는 교서관(校書館)으로 하여금 발간하여 널리 보급하도록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