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의 제국에 드리워진 빛의 실마리 청나라 광서제光緖帝
도전 속 인물 개요
[도전 5편 325장 1절~12절] 세계일가 통일정권 대공사무신년 10월에 고부 와룡리 문공신의 집에 머무르시며 대공사를 행하실 때 성도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이제 천하의 난국을 당하여 장차 만세(萬世)의 대도정사(大道政事)를 세우려면 황극신(皇極神)(주1)을 옮겨 와야 하리니 황극신은 청국 광서제(光緖帝)에게 응기되어 있느니라.” 하시니라.
또 말씀하시기를 “황극신이 이 땅으로 옮겨 오게 된 인연은 송우암이 만동묘(萬東廟)를 세움으로부터 비롯되었느니라.” 하시고 친히 곡조를 붙여 시천주주를 읽어 주시며 성도들로 하여금 밤마다 읽게 하시니라.
선천세계의 제왕기운을 거두심
며칠이 지난 뒤에 말씀하시기를 “이 소리가 운상하는 소리와 같도다.” 하시며 “운상하는 소리를 어로(御路)라 하나니 어로는 곧 임금의 길이라. 이제 황극신의 길을 틔웠노라.” 하시고 문득 “상씨름이 넘어간다!” 하고 외치시니 이 때 청국 광서제가 죽으니라.
이로써 세계일가(世界一家) 통일정권(統一政權) 공사를 행하시니 성도들을 앞에 엎드리게 하시며 말씀하시기를 “이제 만국 제왕의 기운을 걷어 버리노라.” 하시고 성도들에게 “하늘을 보라.” 하시매 하늘을 보니 문득 구름과 같은 이상한 기운이 제왕의 장엄한 거동처럼 허공에 벌여져 있다가 곧 사라지니라.
들어가며
중국의 지배자가 된 만주족
서력기원으로 1500~1600년대 동아시아는 격동의 시대였다. 동방 조선을 중심으로 보면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동아시아 대전이 일어났다. 이를 통해 일본은 도요토미豊臣 정권에서 도쿠가와徳川 막부체제로 넘어가게 되었고 조선은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이 일어나면서 성리학적 질서가 공고해져 갔다. 한편 북방에서는 만주대륙에서 새롭게 일어난 대금大金의 누르하치(愛新覺羅努爾哈赤애신각라노이합적, Aisin-gioro Nurhaci, 1559~1626. 여진어로 애신愛新은 금金이다)와 쇠락해가는 대륙의 대명제국 사이에 한판 승부가 일어나고 있었다. 승승장구 백전백승을 구가하던 누르하치는 1626년 명나라 천계 6년 거듭된 승전으로 교만에 빠지면서 영원성(요령의 흥성興城) 전투에서 명나라의 명장名將인 원숭환에게 패배하고 큰 상처를 입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울증과 고민에 시달렸고, 울분에 찬 끝에 죽음으로써 천하통일의 대업은 8남 홍타이지에게 넘어갔다.
누르하치의 뒤를 이은 청태종 홍타이지皇太極(1592~1643)는 여러 개혁을 통해 체제를 완비하였다. 국호를 대금大金에서 대청大淸으로, 종족명을 만주滿洲로 개칭하였다. 명나라 정복에 몰입하기 위해 후방의 위험이 될 수 있는 조선을 두 차례에 걸쳐 정복하였다. 치르지 않아도 될 전쟁, 바로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이다. 두 차례 호란에서 모두 패한 조선은 굴욕적인 화친을 맺고 청나라와 군신지맹君臣之盟을 맺게 된다. 승승장구하는 청태종은 반간계를 이용하여 숙적 원숭환을 제거하여 청나라의 천하통일을 위한 초석을 닦았다.
이후 소년천자 순치제順治帝는 섭정 도르곤의 도움으로 이자성의 난으로 혼란한 명의 자금성을 점령하여 대륙을 아우르는 대청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이후 만주족의 청나라는 강희제康熙帝, 옹정제雍正帝, 건륭제乾隆帝의 3대에 걸쳐 현군과 명군의 치세 아래 강건성세康乾盛世 또는 강옹건성세康雍乾盛世라는 최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제4대 황제 성조 강희제가 삼번의 난을 평정하여 중국 지배의 기틀을 공고히 한 1681년부터 제5대 세종 옹정제 그리고 제6대 고종 건륭제 치세 중반부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 청나라는 문화 예술이 부흥하는 등 세계 최강대국의 면모를 드러냈다. 건륭제 중기 하남 순무인 아사합阿思哈은 “강희제 60년 통치는 국가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옹정제는 건전한 기풍을 확립하고 변화를 통해 백성들의 질곡을 제거하였으며, 건륭제는 전대를 계승하여 유종의 미를 화려하게 거두었다”라고 3대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청조의 부패와 서세동점의 개막
하지만 빛이 강렬하면 그 어둠도 짙게 내려오는 것인가? 할아버지 강희제나 부친인 옹정제는 소박하고 실질을 중시하는 성격이었지만, 건륭제는 화려하고 웅장한 사업을 벌이기 좋아했다. 그래서 자금성을 개축하고 여러 지역에 별장을 짓는다. 물론 건륭제는 할 일은 하면서 노는 스타일이었고, 이미 선대에 비축한 재정이 튼튼했기 때문에 이런 일은 황실의 권위를 드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화려함을 좋아하는 건륭제는 대외 전쟁을 크게 열 차례 벌였다(이 전쟁으로 지금 중국 영토를 확보하게 된다. 즉 지금 중국은 청나라에 굉장히 감사해야 한다는 뜻이며, 청 이전 영토는 본래 중국의 영토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소위 동북 공정이나 서남 공정의 허구성이 드러난다). 네팔, 신강, 베트남 등을 공격하여 승리한 건륭제는 이를 자랑스럽게 여겨 십전노인十全老人이라는 별호를 지었다. 물론 청제국의 안위를 위한 전쟁도 있었지만 단순히 건륭제 자신의 자존심과 위세를 위해 벌인 전쟁도 있었고, 이런 거듭된 전쟁으로 인해 튼튼했던 재정에 구멍이 나기 시작했다. 여기에 건륭제 말기의 정치적 부패는 이후 서태후가 헤쳐 나가야 할 몫이 되었다. 60년이란 장기 집권을 한 건륭제 전반기는 나름대로 정치가 안정되었으나, 집권 말기에 이르러 건륭제는 화신和珅(1750~1799)이라는 신하를 총애하여 그에게 너무 많은 권력을 부여했고, 화신은 이 권력을 이용해 뇌물을 받고 관리를 임명하였다. 건륭제는 이를 알면서도 묵인하였다.
나중에 건륭제 뒤를 이은 가경제嘉慶帝 때 화신은 숙청당했는데, 그때 몰수된 그의 재산은 청나라 10년 재정수입 합계와 맞먹었다고 한다. 이렇듯 중앙정치가 부패해감에 따라 지방의 부패와 횡포도 심해져 갔으며, 이로 인하여 청제국은 서서히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가경제 때에 백련교白蓮敎의 난, 천리교天理敎의 난, 회족回族과 묘족苗族의 반란이 일어났고, 외세에 의해 아편이 들어왔다.
이후 제8대 도광제道光帝 때 일어난 가장 부도덕한 전쟁인 아편전쟁鴉片戰爭(Opium Wars, 1차 1839년~1842년, 2차 1856년~1860년)에서 청나라가 완패함으로 본격적인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아편전쟁의 결과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큰 충격을 주었다. 여러 청나라 주변국 중 서양과 접촉하고 있던 일본은 일찍 개항하여, 서양문물을 받아들이며 메이지 유신 등 근대화의 길을 걸었던 반면, 조선은 세도정치의 와중으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였다. 이미 여기서 두 나라의 운명은 엇갈리게 되었다)
소년 천자의 즉위와 자희태후(서태후)의 그림자
청제국의 실질적인 마지막 황제인 광서제光緖帝(만주어 Badaranga doro han 빠다랑가 도로 한, 몽골어 Badargultu Törü Khaan 빠다라올트 투르 칸. 1871신미년 8월 14일~1908무신년 11월 14일)는 제11대 황제로 청나라 역사상 최초의 방계 혈통 출신 제왕이었다. 묘호는 덕종德宗, 연호는 광서光緖, 본명은 재첨載湉으로 4세에 황위에 올라 34년간 재위하였고 38세에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동치 13년인 1874년 12월 5일 병에 시달리던 제10대 동치제同治帝가 19세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누가 대통을 계승하느냐가 중요했다. 이에 당시 실권을 쥐고 있던 큰어머니인 동태후東太后(자안황태후慈安皇太后, 제9대 함풍제의 황후)와 또 다른 큰어머니이자 이모인 서태후西太后(자희황태후慈禧皇太后, 함풍제의 후궁이고 동치제의 생모)는 함풍제의 동생인 순친왕의 4살배기 아들 재첨載湉을 함풍제咸豊帝의 양자로 들여 대통을 잇게 하였다. 이 사건은 조정을 크게 놀라게 하였다. 황위 계승 순서와 절차가 모두 바뀐 것이다. 그 원인은 광서제의 할아버지인 도광제道光帝로부터 찾을 수 있다. 도광제에게는 9명의 왕자가 있었다. 장자인 혁위奕緯와 차남, 3남이 일찍 요절하여 4남이었던 함풍제가 즉위하였다. 5남은 돈친왕이 양자가 되어 돈군왕 작위를 세습하고 친왕이 되었고, 6남 공친왕은 의정왕議政王과 군기대신이 되었다. 7남 순군왕 혁현은 동치 11년 친왕이 되었으며 8남 종군왕은 동치 7년에 죽었다. 9남은 부군왕이다.
청나라는 만주 귀족회의를 통한 천거나 전 황제가 미리 정한 태자밀건제(주2)에 따라 황위 승계를 정했는데, 이에 의하면 황제 사망 후 자식이 없을 때는 황족 중 다음 항렬(청 황제의 항렬 순서는 永영 綿면 奕혁 載재 溥부 毓육 恒항 啓계이다)을 선택하여 황태자의 신분으로 황위를 잇게 하였다. 동치제의 이름은 재순이었으므로, 그 다음은 부溥자 항렬에서 황위를 이어야 했다. 도광제의 증손자이며 장손인 부륜溥倫이 있었지만, 서태후는 그의 종지宗支가 멀다는 이유로 반대하였다(부륜은 도광제의 장남인 혁위奕緯의 아들인 재치載治의 아들이다. 부溥자 항렬 중 당시 연장자로 나이 17세로 적당했다. 그런데 재치는 혁위의 친아들이 아니라, 혁위의 양자로 후사를 이은 경우로 방계에 해당하였다). 수렴청정을 통해 권력을 이어가고자 했던 서태후는 도광제의 7남 순현친왕醇賢親王 혁현(혁현의 5남인 재풍의 아들이 청제국 마지막 제12대 황제 선통제宣統帝 부의溥儀이다)의 적차남嫡次男인 재첨載湉을 후사로 정하니 바로 광서제이다.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인 예허나라 완전(葉赫那拉 婉貞)은 서태후의 동생이었다. 재첨의 황위 계승은 만주 귀족회의를 통한 천거도 태자밀건법에 의한 것도 아닌 오직 ‘황태후의 한마디’로 정해진 것이었고, 이는 광서제의 앞길에 드리워진 파란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이 때문에 광서제가 서태후의 조카가 아니라 숨겨진 아들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광서제 재위 기간 중 1875년부터 1881년까지는 큰어머니인 동태후와 서태후가 공동으로 섭정하였고, 동태후가 사망한 후인 1881년부터 1889년까지는 큰어머니이자 이모인 서태후가 섭정을 하였다. 실질적인 광서제의 친정親政은 1889년부터 1898년까지로, 무술변법에 대한 반발로 1898년 서태후가 일으킨 궁중 정변으로 인해 유폐되어 1908년 붕어할 때까지 광서제는 허수아비 임금 신세로 지내야 했다.
뛰어난 황제가 되고 싶었던 광서제
광서제는 나이 5세, 실제로는 3세 반이었던 광서 원년(1875년) 정월 29일에 태화전太和殿에서 황제 즉위식을 갖고 천天 지地 묘廟 사社에 제사를 지냈다. 이듬해부터는 자금성 내 동육궁東六宮 남쪽의 재궁과 봉선전 사이에 위치한 육경궁毓慶宮에서 독서를 시작하였다. 사부로는 서시랑 내각학사 옹동화翁同龢와 시랑 하동선이 배치되었다. 옹동화는 독서를, 하동선은 작문을 책임졌다. 어전대신은 만주어와 몽골어, 기마와 사격술을 가르쳤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환경과 스트레스로 인해 울기도 하고 떼를 쓰기도 하며 책을 팽개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독서에 적응하고 심지어 독서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여 서태후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광서제는 학문을 좋아하여 능동적으로 학습하였다. 규정된 시간 외에도 휴식이나 과외시간에도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고 언제나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입에선 경전(經), 역사(史), 제자백가(子), 문집(集)의 구절이 떠날 줄 몰랐다. 광서제의 문장에는 언제나 웅대한 뜻이 담겨 있었는데 『을유년(1885년) 어제문御製文』에서 “윗사람으로서 먼저 백성을 아끼는 마음이 있은 뒤에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사랑할수록 걱정하는 마음이 더 간절하다. 걱정하는 마음이 간절하기 때문에 백성이 배곯으면 곧바로 내 배가 고프고 백성이 추위에 떨면 곧바로 내가 춥다. 무릇 백성들이 할 수만 있다면 혼신을 다해 이르게 하고, 백성의 힘으로 벅차다면 정성을 다해 이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라며 좋은 황제가 되고 싶은 뜻을 표하기도 했다. 이때 지은 시로 『위로圍爐』가 있는데 변방을 생각하고 민초들의 고초를 걱정하는 심리를 엿볼 수 있다.
西北明積雪(서북명적설) 萬戶凜寒飛(만호늠한비)
서북은 쌓인 눈으로 밝지만 백성들은 휘날리는 눈보라에 떠는구나.
惟有沈宮里(유유심궁리) 金爐獸炭紅(금로수탄홍)
오로지 깊은 대궐 속에서 육포를 굽는 황금난로의 재만 붉구나.
서태후는 광서제를 엄격히 교육하는 한편, 사소한 부분까지 직접 신경 쓰며 돈독하게 모자관계를 유지하려 애썼다. 하지만 광서제에게 서태후는 혈육으로는 이모이자 자신을 제위에 세운 은인인 동시에, 자신의 애첩 진비를 죽게 한 원수이고 자신의 황권을 쥐고 흔들며 언제든지 자신을 폐위시킬 수 있는 두렵기만 한 정적이었다.
광서 15년인 1889년 정월 20일 광서제는 대혼大婚을 치렀다. 황후와 비첩 2명을 모두 서태후가 선택했다. 융유황후隆裕皇后는 서태후의 남동생인 계상桂祥의 여식으로 미인이 아닌데다 체구도 빈약하고 허리까지 약간 굽었다. 서태후가 자신의 조카를 황후로 들인 이유는 대궐 내에서 황제를 통제하고 조종하며 수렴청정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이런 혼인 뒤의 계략을 알고 있는 광서제는 줄곧 황후와 불만족스러운 혼인생활을 영위해야만 했다. 2명의 비첩인 근비瑾妃와 진비珍妃는 친자매지간이지만 생김새와 성격은 달랐다. 근비는 수수한 외모에 성격도 온화하고 나약하였지만, 진비는 열정적이고 성격 또한 시원시원하여 광서제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다. 하지만 이런 광서제와 진비의 사랑은 서태후와 황후에게는 달갑지 않았다. 광서제는 황후에 대해서는 관심은커녕 혐오감을 느낄 정도였기에, 황후와 진비의 감정의 골은 깊어만 갔고 급기야는 원한관계로 변해 버렸다. 그래서 훗날 광서 26년 1900년 7월 21일 의화단의 난 당시 8국 연합군이 북경을 공략하자 서태후는 광서제를 대동하고 시안西安으로 도주하게 된다. 이때 서태후는 내관 최옥귀에게 진비를 영수궁 외곽 우물에 빠뜨려 죽이라고 명령하였다. 사실 여부를 떠나 이 무렵 진비는 죽음을 맞이했고, 이후 자료에서도 진비 관련 기록은 보이지 않았다. 진비의 죽음은 연금생활에다 마음까지 울적한 광서제에게는 커다란 충격으로 다가왔다.
황제의 새로운 도전, 무술변법자강운동(주3)
황제파와 태후파의 대립
광서 12년 1886년, 소년 천자 생활을 거쳐 광서제가 친정親政에 나설 나이가 되었다. 1887년부터 광서24년 1898년 8월 6일 서태후가 또다시 수렴청정에 나서는 시기까지 12년간이 광서제의 친정 시기이다. 광서제가 친정에 나선 시기에는 제국주의 열강들이 박을 쪼개듯 청나라를 분할할 때였다. 이런 친정 기간에도 여전히 서태후는 국정을 통제하였다. 특히나 자안태후(동태후)가 죽은 이후에는 서태후가 전권을 휘둘렀다. 황제로 하여금 격일로 정무를 보고하게 하고 훈시를 받도록 규정하는 등 무늬만 황제이지 사실은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았다. 서태후는 광서제의 권한을 제한하고 모든 국사는 반드시 자신의 의지에 따라 처리하도록 하는 한편 자신의 조카인 융유황후와 심복인 내관 이련영李蓮英을 통해 광서제의 행동을 감시하였다. 국내외에서 광서제가 부딪쳤던 어려움은 상상을 초월하였다.
권력욕에 강한 서태후는 이미 광서 10년 1884년 청프전쟁 기간에 순현친왕 혁현과 협력하여 공친왕 혁흔을 중심으로 하는 다섯 명(공친왕 혁흔, 보윤, 이홍주, 경렴, 옹동화)의 군기대신을 몰아내고 그 자리에 평범한 재능을 가진 예친왕 세탁, 손육문, 액륵화부 등을 임명했다. 이때부터 조정은 황제파와 태후파로 갈려 대립하며 서로의 세력을 형성하였다. 청일전쟁 때는 주전主戰과 주화主和로, 변법 유신개혁 때에는 유신維新과 법조法祖를 각각 주장하며 서로 맞섰다. 광서제를 중심으로 하는 황제파는 대학사 군기대신 옹동화, 이홍조 등이 중심인물이었고, 서태후를 중심으로 하는 태후파는 대학사 병부상서 겸 보군초령 영록과 군기대신 손육문, 서용의 등이 대표적 인물이었다. 첨예한 대립이었다.
혼란한 정국, 열강의 침탈
당시 청을 둘러싼 국제 정세는 심각하였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급성장한 일본은 대외로 세력을 팽창하였다. 그 방향은 조선과 청나라 동북지역이었다. 극동지역과 청나라의 북쪽지역 전반을 향해서는 끊임없이 러시아의 세력팽창 시도가 있었고, 영국과 프랑스 등의 서구 열강들은 해상을 통해 청나라에 대한 침략을 감행하였다.
이러던 중 조선에서는 역사의 대지진인 1894년 갑오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났다. 이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조선 조정은 청나라에 도움을 청했다. 그런데 이전인 1882년 임오군란 때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 전투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체결된 톈진조약에서는 ‘청나라와 일본 중 어느 일방이 군대를 조선에 파병하면 상대편도 파병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었는데, 이를 기화로 일본 역시 조선에 군대를 파병하였다. 당시 일본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이미 마친 상태였다.
청프전쟁이 끝나고 청나라는 해군아문海軍衙門을 창립하여 북양, 남양, 복건, 광동 등에 4대 수사水師(해군사령부)가 있었고, 대소군함 70여 척을 갖는 등 해군 군비확충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이른바 서양 군수기술을 도입하여 근대화를 추진하는 동도서기東道西器 정신을 바탕으로 한 양무운동洋務運動(주4)이다. 특히 청나라의 북양 수사는 20여 척의 군함을 가졌고 주력함은 영국과 독일에서 수입하였다. 이에 일본도 메이지유신 이후 연합 해군함대를 창설하였다. 일본의 침략 야욕이 구체화되자, 광서제는 일본과의 항전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당시 서태후는 자신의 60세 생일 축전을 위해 이화원을 건축하는 기금으로 수천만 냥의 해군비를 전용했고, 그녀가 신임하던 환관들은 공금횡령 등 불법행위를 자행하였다.
일본은 1894년 갑오년 9월 15일에 천황의 인솔로 대본영을 히로시마에 진출시키고 일사불란한 지휘체계와 대대적인 병력 증강 등 국가차원에서 전쟁을 수행했다. 9월 16일에는 평양을 점령함으로써 조선 전체를 제압하였다. 이어 9월 17일 황해 해전에서 승리해 황해의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대본영은 중국 진출을 지시하고 전장을 중국 본토로 옮긴다. 일본군의 압도적인 승리가 이어지는 전황 속에서, 마지막 기대를 짊어지고 북양함대가 웨이하이웨이(위해위威海衛)를 출발했으나, 동양 최대라는 독일제 전함 ‘정원定遠’마저 전투 능력을 상실하고 2월 5일 스스로 침몰함으로써 믿고 의지할 모든 게 사라져 버렸다. 이홍장에게 전권을 위임한 청 조정은 마침내 화의에 응한 일본 측의 요구대로 조선의 독립 승인, 요동반도, 대만, 팽호澎湖열도 및 인근 도서를 할양했고(이는 일본의 세력 팽창을 견제하려는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3국 간섭으로 다시 반환되었다. 이를 본 조선에서는 일본세력을 압도하는 러시아 세력에 의탁하게 되는 아관파천이 일어나게 되었다), 청나라 3년 재정수입에 맞먹는 은화 2억 냥을 일본에 배상하였다. 그 외에 외국과 똑같은 통상적 특권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굴욕적인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을 체결하였다. 청일전쟁에서 패배하자 양무자강운동을 주도했던 이홍장은 실각하고,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세력이 정권을 장악함으로써 정국이 더욱 혼미하게 되었다. 이는 곧 30여 년간 추진한 양무자강운동의 실패를 의미하였다. 이후 일본,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이 철도부설권과 광산이권의 쟁탈, 중요 도시의 조차 등의 침략행위를 자행함으로써 청나라는 이들 열강의 반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었다. 한편 청나라 내부에서는 강렬한 구국의식이 변법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 나아가 혁명운동을 출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판단 아래 광서제는 내정을 개혁하고 국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일대 정치개혁을 실시했다. 광서 24년인 1898년 무술년 4월 23일 광서제는 서태후의 동의를 얻어 개혁지향을 표명하는 ‘국시를 정하여 알리는 조서[定國是詔]’를 발표하였다. 이른바 무술 변법자강운동變法自彊運動이다. 이 변법이 진행되던 103일 동안 광서제는 184개의 유지를 내려, 온 사회에 널리 알렸다. 그 이전에 풍부한 정치경험을 가진 서태후는 광서제의 변법을 막을 조치를 이미 취하고 있었다.
광서제는 개혁적인 캉유웨이康有爲(1856~1927), 량치차오梁啓超(1873~1929), 탄스퉁譚嗣同(1865~1898)을 등용하여 개혁을 추진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같은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취하였다. 단순한 무기 도입이나 신식 군대의 설립보다는 부국강병의 바탕이 되는 제도개혁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때 캉유웨이의 중요한 활동은 황제에게 개혁 내용을 건의하는 일이었다. 개혁 내용을 보면 ‘제도국’ 개설, 개혁파 관리의 임용, 사민士民의 상서上書 허용, 상업 진흥, 신식학교 설치와 자유로운 의복제도 등이었다. 개혁운동의 중심이 되는 ‘제도국’ 설치는 보수적인 대신들의 반대에 부딪혀 진전이 없었으나 과거제에서 팔고문八股文(여덟 개의 짝으로 이루어진 한시 문체. 중국 명나라 초기에서 청나라 말기에 이르기까지 과거의 답안을 기술하는 데에 썼다)의 폐지, 서원의 학당 전환 등 몇 가지 개혁은 추진되었다.
캉유웨이는 7월 19일 개혁에 방해가 되는 수구파 대신의 숙청을 요청하였고, 광서제는 예부상서를 비롯한 고급관리를 서태후의 재가도 없이 파직시켰다. 이어 탄스퉁 등 개혁파 관리를 ‘군기장경軍機章京’으로 임명하여 제도국 설치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리하여 7월 27일에는 ‘제2차 개혁’을 단행하여 유명무실한 관료기구의 철폐, 제도국의 성격을 갖는 ‘무근전懋勤殿’을 개설하고 황제의 군사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친위군을 창설하여 ‘신건육군新建陸軍’의 창설자인 위안스카이袁世凱(1859년~1916년: 톈진天津에 주둔하던 신식무기와 훈련을 받은 정무군定武軍을 신건육군新建陸軍으로 바꿨다. 나라의 군대를 사병화하여 많은 심복을 양성하였고 그들은 훗날 북양 군벌의 군벌들로 또는 중화민국 초기 정계 및 군계 인물로 활약하였다)에게 친위군을 맡기고자 하였다. 변법파는 서태후의 간섭을 받는 광서제의 신임만으로는 한계가 있었기에 무력을 얻기 위해 위안스카이를 끌어들이려 하였다. 위안스카이는 탄스퉁의 제의에 넘어가는 척했으나, 곧바로 영록을 비롯한 수구파에게 변법파가 자신을 끌어들이려 했다고 밀고했다.
군권을 장악한 서태후의 10만 대군을 상대하는 광서제의 개혁가들은 단지 나약한 선비 몇 명에 불과하였다. 사실 개혁 유신파의 주장은 너무 급진적이고 이상적이어서 현실과 동떨어져 서양의 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이면 개혁이 되리라고 생각한 부분이 많았고, 실제 행동보다는 말뿐의 개혁들이 많았다. 그들은 광서제의 이름을 빌려 하나씩 개혁을 단행하면 쉽게 변법유신운동에 성공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청 조정의 완고하고 보수적인 관료들은 전력을 다해 개혁을 저지했고, 각 성의 총독과 순무 대부분도 개혁 내용을 이행하지 않았다.
개혁에 대한 광서제의 결심은 결코 충동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광서제는 개혁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던 서태후의 인사권을 침해하면서 그녀의 심기를 건드렸고, 이에 위기감을 느낀 서태후는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잔인한 방법으로 그들을 진압했다.
서태후를 정점으로 하는 수구세력은 결속하였고, 개혁을 강행하다가는 광서제의 제위까지 위태롭다는 불안감을 불러일으켰다(당시 일본 총리대신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9월 14일에 북경에 방문하여 이홍장과 회담하고 17일에는 이토를 주빈으로 한 만찬회를 개최하였다. 이후 18일에는 광서제를 알현한 것이 서태후 측의 쿠데타를 초래했다는 의견도 있다. 즉 이토 측에서 강유위를 속여 청과 일본의 합병을 추진했을 수도 있다는 설이다). 이에 군권을 쥐고 있던 서태후는 8월 4일 수구파의 정변(무술정변)으로 광서제를 중난하이中南海에 있는 영대에 연금하였다. 8월 6일 캉유웨이 체포령을 내리고 이른바 ‘무술육군자戊戌六君子’인 탄스퉁, 양예楊銳, 유광제劉光第, 임욱林旭 등 4명의 군기사경軍機四卿과 캉유웨이의 아우인 강광인康廣仁, 어사 양심수楊深秀 등을 처형하였다. 변법자강운동 주도자인 캉유웨이와 양계초는 영국인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일본으로 피신하였다.
무술변법은 메이지유신이나 조선의 갑신정변처럼 엘리트 위주의 개혁으로 민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하지만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었다. 무력을 갖지 못하는 개혁은 결코 성공할 수 없음을 무술변법은 확인시켜 준 것이다. 유폐된 황제 광서제는 하늘을 바라보며 “내가 정녕 한헌제漢獻帝보다도 못하구나!”라며 한숨만 내쉬었다. 무술변법은 실패로 끝났지만 당시 사회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치 분야에서 광서제는 변법 요강을 전면적으로 받아들여 언론출판의 자유를 주어 전통적인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터 주었다. 경제 분야에서 민족자본주의 발전을 위한 노선 정비 이외에도 학당을 열고 과거제도를 개혁하고, 외국 시찰단을 파견하여 지식인들의 시야를 넓혀주었다. 광서제는 근대 중국에서 처음으로 서구를 본받아 중국을 변혁하려 한 진보적인 황제였다. 하지만 오랫동안 깊숙한 궁전에만 머물러 있었던 탓에 정치 경험이 부족하여 노회한 서태후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이어서 일어난 의화단의 난과 8국 연합군의 북경 점령이 초래한 피해는 고스란히 백성들과 국가 그리고 민족에게 돌아갔다. 무술변법 이후 개혁은 이제 정치체제의 변혁을 추구하게 된다. 입헌군주제가 되었든, 공화제가 되었든, 전제군주정을 종식시켜야만 했고 청 황실과 만주 귀족은 ‘혁명의 대상’이 되었다. 청나라는 변화를 거절하면서 망국의 길로 가게 되었다.
베일에 싸인 죽음, 선천 제왕 기운을 걷다
불우한 황제의 비극적 종말
2007년 12월 4일 화요일 홍콩의 시사잡지 《자형紫荊》은 중국의 국가중점문화프로젝트가 최신 과학기술을 이용, 광서제의 유체를 대상으로 화학검사를 실시한 결과 머리 유골에서 치명적인 비소 성분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광서제 두개골의 비소 함유량은 정상 수준의 1천∼2천 배를 넘었고 두개골의 특정 부위에서만 집중적으로 발견됐다. 이는 광서제가 의도적이고 돌발적인 사건에 의해 유독성 화학물로 절명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광서 34년인 1908년 무신년 10월 21일 광서제는 영대瀛臺의 함원전涵元殿에서 승하하였다. 향년 38세의 장년. 서태후로부터 폐출廢黜, 연금되어 10년 간 울적하게 지내던 중이었다. 평소 몸이 허약했다고 되어 있는데 황실 어의 관련 자료를 편성한 『자희광서의방선의慈禧光緖醫方選議』를 보면 광서제와 관련된 처방만도 182개에 달하고, 그 중 신경쇠약 처방이 64개, 골격과 관절 관련 처방이 22개, 후사와 장수 관련 처방(광서제가 후사가 없는 이유를 발기부전이나 유정遺精, 요통 때문이라고 한다) 17개였다. 잔병에 시달리긴 했지만 돌연사할 만큼 심각했던 것은 아니다. 특히나 서태후 사망 1일 전에 일어났다는 점이 심상찮다.
광서제가 잔병이 많았던 것은 그의 불우했던 삶을 통해 보면 어쩌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을 것이다. 3살 반의 어린 유아시절 입궁하여 자신의 부모를 더 이상 보지 못하게 되었을 때 느꼈을 외로움과 고독. 광서제는 서태후의 양자로 들어가 서태후를 파파父父(아버지)로 부르게 되었다. 여기에 엄격한 서태후의 훈육은 어린 광서제의 정서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여기에 친아들같이 대해준 동태후의 죽음 앞에 광서제는 울고 또 울었다.
입궁한 뒤로는 생모를 보지 못하다가 1896년 모친의 병이 위중해져서야 겨우 어머니의 임종을 지켜볼 수 있었다. 게다가 진정으로 사랑했던 진비가 의화단의 난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정적이었던 서태후에 의해 죽음을 당할 때 느꼈을 인간적인 괴로움은, 사랑하는 이를 잃었던 경험을 가진 이들은 가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리라. 여기에 달갑지 않은 사촌 누나와의 정략결혼은 더욱더 그를 음울하게 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청일전쟁 당시 국지전을 예상한 청나라가 이홍장의 북양함대만을 출전시켰으나, 총력전을 준비한 일본에 완패하였다. 이에 의욕적으로 실시했던 무술변법자강운동을 통해 근대화의 길을 모색하려 했으나, 기득권을 지닌 보수파의 반격 앞에 허무하게 무너져 내렸다. 이후 서태후를 비롯해서 내관 이련영 등의 조롱과 무시 속에서 살아야 했으며, 광서제는 폐위의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이후 죽을 때까지 모든 실권을 잃고 실의에 빠진 채 이화원에 감금되어야 했으니, 이런 삶의 환경에서는 아무리 강건한 이라도 건강을 지키는 건 쉽지 않았으리라.
감금되어 있던 시기에 광서제는 서태후 사후 다시 한번 집권하여 개혁의지를 펴려는 뜻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그는 서태후보다 하루 먼저 승하하면서 청나라는 실질적인 역사의 막을 내리게 된다. 정사에서는 광서제가 병세가 점차 가중된 상태에서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정황상 지병을 앓고 있던 서태후가 자신의 사후 광서제가 다시 권력을 잡게 되면 모든 게 되돌려질까 두려워 독살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 않으면 서태후 사후 광서제가 집권하게 되면 화를 입을 것을 염려한 이련영이나 위안스카이(무술변법 당시 광서제의 신임을 저버리고 배신하여 서태후의 신임을 받았다) 등이 독살했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나 어의로 지냈던 굴귀정은 민국시기에 발간한 잡지 《일경》에서 자신은 광서제 임종 3일 전에 입궐하여 마지막으로 광서제를 진맥하였다고 밝혔다. 그는 호전되었던 광서제의 병세가 갑자기 악화되었고 침상에서 데굴데굴 구르면서 복통을 호소했고 며칠 되지 않아 운명하였다고 한다. 그러면서 누가 살해했다고 단정할 순 없지만 누군가가 살해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하고 있다.
광서제와 황극신 공사
광서제를 끝으로 청나라는 실질적인 명운이 다하였다. 이때부터 18세기에 유럽에서 조짐을 보인 군주정치(왕정)의 붕괴가 전 지구촌에 급속하게 퍼져나가 계급제도가 타파되는 대변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청조淸朝는 1911년 손문孫文의 신해혁명으로 역사 무대에서 자취를 감추었고, 러시아의 차르 체제는 1917년 레닌의 볼셰비키 혁명이 성공함으로써 니콜라이Nikolai 2세를 마지막으로 그 종막을 고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도 군주정이 붕괴되고 공화정이 들어섰다. 영국처럼 군주제가 유지된 극소수 나라는 왕의 실권이 없는 입헌 군주제로 바뀌었다.
이런 역사적 대변혁의 이면에는 1908년 무신년 10월에 증산상제님께서 고부 와룡리 문공신 성도 집에서 보신 세계일가 통일정권 공사가 있다. 이 공사는 불평등하고 부조리한 선천 세상을 바로잡아 전 세계를 통일하고 후천의 가을 문명을 여시기 위해 상제님께서 광서제에게 응기되어 있던 황극신皇極神을 한반도로 불러 옮겨 오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원을 찾아 돌아가는 가을철 원시반본原始返本의 이치에 따라 본래 한 뿌리에서 갈려 나온 세계 동서 문명이 이제 가을개벽기를 맞아 다시 한집안으로 통일되는 공사로서, 그 통일문명을 주관하는 황극신이 인류 창세문화의 주역이며 뿌리인 동방의 조선으로 넘어오게 된 것이다. 또한 상제님께서는 앞으로 중국이 아닌 조선이 대중화大中華, 즉 세계 문명의 중심인 천자국이 된다고 하셨다. 우리나라가 상제님의 대행자로서 신교神敎의 가르침을 세상에 펴는 천자天子의 나라가 될 것임을 선포하신 것이다. 조선의 고종 임금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천자인 황제로 즉위(1897)한 사실과 청조의 광서제가 급서(1908)한 사건은 이와 같은 천지공사의 기틀이 현실 인사人事로 드러난 역사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청나라 후기의 실질적 통치자, 자희慈喜 서태후西太后
‘오늘은 남원南苑, 내일은 북해北海로…… 그렇다면 장안에는 언제나 도착할까? 국민들의 피를 쥐어 짜내고 자신은 호화로운 생활을 즐기고 있구나. 나이 50에는 유구流球를 내어주고, 60에는 대만臺灣을 내어주더니, 이제는 동북 3성까지 내어주다니. 무릇 조정 관리들이라는 무리들이 제멋대로 나라의 땅을 내어주고도 만수무강을 바라는가.’-중국의 유명한 정치가이자 사상가인 장태염章太炎이 서태후가 자신의 사치향락만 추구하고 민생을 돌보지 않음을 생동적이면서도 통쾌하게 폭로한 시
권력욕과 주도면밀함을 갖춘 여인
청나라 후기는 아편전쟁을 시점으로 해서 내우외환의 혼란한 시대였다. 이런 혼란의 와중에 노래를 잘 부르고, 부드러운 목소리와 몸짓으로 사람을 감동시키는 사랑스럽고 영리한, 하지만 권력욕이 강했으며 권모술수에 능한 한 여인이 청제국의 운명을 좌지우지하게 되었다. 바로 자희태후 또는 서태후西太后로 불리는 인물이다. 1835년생인 서태후의 본명은 엽혁나랍葉赫那拉 난아蘭兒로 만주 양남기(만주의 팔기군 체제 중 하나) 출신이며 부친은 엽혁나랍 혜정으로 이부에서 필첩식筆帖式(인사부의 비서에 해당)을 지내다 승진되었다. 증조부 지랑아는 일찍이 호부에서 원외랑을 지냈는데 부채만 잔뜩 남기고 세상을 떠났고, 조부 경서는 형부 산동사에서 낭중을 지냈다.
서태후는 이런 성장배경 아래에서 어린 시절부터 관직 사회의 생리를 터득하며 자랐다. 어려서는 유복하게 생활했으나, 도광 27년(1847) 아버지가 호부에 재직할 때 진 빚을 갚지 못해 파직되어 화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허드렛일로 생계를 꾸려나갔고 수려한 외모로 열여섯 살 때 하위계급의 궁녀인 수녀秀女로 선발되어 황궁에 들어갔다. 이때부터는 자희慈喜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청제국은 9대 함풍제咸豊帝 혁저奕詝의 치세였다. 함풍제는 평화로운 시기였다면 백성을 위한 좋은 군주가 될 수 있었겠지만, 침략열에 불타는 서구 열강들에 맞서기에는 유약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자희는 처세에 능했고, 고속으로 승진하여 의빈懿嬪(1854년), 의비懿妃(1856년)가 되었다가 함풍제의 유일한 아들인 재순載淳을 스물한 살에 낳았다. 재순은 후에 동치제同治帝가 된다. 1857년 의귀비懿貴妃로 책봉되어 그 지위가 황후인 유호록씨(紐祜錄氏: 자안태후慈安太后) 바로 다음이었고, 함풍제의 총애를 받아 정사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책을 많이 읽었으며 글 짓는 솜씨도 뛰어났고, 주도면밀한 계획 아래에서 움직이기를 좋아하던 여인이었다.
이 시기 청은 급속한 몰락의 길로 들어서고 있었다. 자희가 입궁했던 시기는 ‘태평천국太平天國의 난’이 일어나, 한때 무적을 자랑하던 팔기군八旗軍(주5)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무너졌다. 이에 증국번曾國藩과 이홍장李鴻章 등의 한족 출신들이 지휘하는 군대로 가까스로 버티고 있던 중이었다. 1860년에는 영국 상선 애로Arrow호 사건을 빌미로 제2차 아편전쟁이 터졌다.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가 청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한 것이다. 영불 연합군에 의해 북경이 점령당하고 원명원까지 침략당했다. 북경의 인후咽喉에 해당하는 천진을 개방하여야 했고, 홍콩 섬을 마주보고 있는 주룽반도까지 영국에 할양하고 엄청난 배상금을 지불하고 나서야 북경조약을 맺을 수 있었다. 자포자기에 빠진 함풍제는 정사를 돌보지 않고 주색잡기에 몰두하다 열하에서 31세로 병사하기 전에야 조서를 내려 장남인 재순을 황태자로 삼고 재원, 단화, 숙순肅順 등 8명을 찬양정무대신으로 임명해 보좌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사후 여러 세력들이 서로 견제하게 하는 구도를 만들었다.
삼두체제로 이끈 동치중흥
당시 26세의 자희는 이 찬양정무대신들의 특권에 불만을 품었다. 그리하여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으며 추종자도 많이 거느리고 있어 제위에 도전할 가능성이 큰 함풍제의 동생 공친왕 혁흔 등 귀족관료들과 합세하여 북경에서 신유정변辛酉政變을 일으켜 숙순을 대표로 하는 재원, 단화를 죽이고 나머지 5명은 실각시켜 버렸다. 그리고 두 태후는 재순載淳을 제위에 올리고 황제의 연호를 동치同治로 하였으며 양심전養心殿에서 수렴청정을 실시하였다. 이 시기부터 자안태후는 동태후東太后로, 자희태후는 서태후西太后로 불리게 된다. 함풍제의 정실 황후였던 자안황태후는 동쪽의 종수궁鍾粹宮에 기거했고, 자희 태후라 불리던 서태후는 서쪽의 저수궁儲秀宮에 기거했기 때문이다. 공친왕은 의정왕議政王 겸 군기대신으로 임명하고, 새로 설립된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을 책임지며 대외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 이로써 세 사람이 권력을 분점해서 서로 균형을 유지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두 태후의 갈등을 강조하는 갖가지 소설이나 영화에서와는 달리 정사의 기록에 의하면, 자안과 자희 두 사람의 사이는 좋은 편이었다고 한다. 공친왕 혁흔까지 가세한 이 삼두체제의 리더는 서태후가 아니라 동태후 자안이었다. 서태후는 분주하게 갖가지 정사에 직접 관여하고 사람을 모아 파당도 만들었지만, 자안의 경우에는 가만히 있어도 사람을 끌어들이는 마력이 있어 강력한 카리스마를 자랑하는 공친왕조차 그녀를 어려워하고 있었다. 자안은 평소에는 온화하고 자애로운 성격이었고 정사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려고 하지도 않았지만, 정도를 벗어난 경우에는 가차 없이 처단했다. 그렇기 때문에 어려운 순간에 결정을 내리는 일은 항상 그녀의 몫이었다. 그녀는 전형적인 외유내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신유정변의 와중에 황실의 종친인 숙손의 신병을 처리하면서 자희와 공친왕은 그의 신분 때문에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었지만, 자안은 그가 황실의 권위에 도전했다는 이유로 단호하게 참수형으로 다스렸다. 역사적으로 유래가 매우 드문 두 황후의 동시 수렴청정, 여기에 실질적으로는 공친왕까지 세 사람이 동시에 국가를 이끌던 시기는 무려 20년간이나 유지되었다. 이 시기를 역사는 동치중흥同治中興이라고 부른다.
이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했던 증국번과 이홍장을 필두로 장지동張之洞, 좌종당左宗棠과 같은 개방주의자들이 발탁되어 양무운동洋務運動이라고 하는 개혁정책을 주도했다. 이 개혁은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는 한계는 있지만, 서양열강의 산업을 받아들이는 근대적이고 점진적인 변혁이라는 특징이 있다. 동치제 치세인 186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광공업, 해운, 조선 등의 분야에서 근대적인 산업을 도입하였다. 새로운 교육체제가 도입되고 해외유학생들이 파견되기 시작했다. 아편전쟁에서 쓰라린 패배를 당하며 서구의 근대적 포함砲艦에 놀랐던 경험이 있기에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은 해군 함정 도입과 같은 군비확충이었다. 서구 열강들도 양무운동에 우호적이었으며 특히 영국은 세 사람의 권력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권력의 독점이 부른 몰락의 신호탄
그렇지만 동치중흥은 동태후의 급작스러운 죽음으로 갑자기 방향을 잃고 말았다. 동태후 자안이 급작스럽게 사망한 시기는 광서 7년(1881년). 당연히 서태후의 암살 배후설이 제기되었으나, 밝혀진 바는 없었다. 만약 동태후의 죽음에 서태후가 관련이 있다면 이는 권력축의 이동 때문이었을 것이다. 당시 동태후와 공친왕은 점점 더 긴밀해져 가고 있었으며, 서태후는 서서히 밀려나고 있었다. 그것은 두 여인의 성격 차이에 기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동치제조차 철이 들고 나서는 친어머니인 서태후와는 소원해지면서, 동태후와 가까워져 문안인사를 가서도 오래도록 그녀와 함께 머물곤 했다고 한다. 동태후의 죽음을 계기로 권력은 서태후에게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권력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서태후는 공친왕을 제거할 기회만 노리고 있었다.
당시 청나라는 서구 열강들의 눈치만 보고 있었고, 공친왕은 20년 이상 외교 책임자로 일하면서 영국을 위시한 서구 열강들의 신뢰를 받고 있던 인물이었다. 그러던 중 동태후가 사망하고 3년 후에 프랑스가 베트남을 침공하면서 그곳에 주둔 중이던 청나라 군대가 쫓겨나자 프랑스와의 전쟁이 발발했는데, 이 전쟁과 관련해서 서태후는 공친왕에게 책임을 물어 그를 해임하고 권력을 독점하는 데 성공했다(1884년). 그런 다음 공친왕 혁흔 자리에 광서제의 아버지인 순현친왕醇賢親王 혁현을 앉혔다. 백성 및 서양 대표들과도 친분이 있고 자신의 군대를 갖고 있던 공친왕보다는, 성격도 심약하고 아들이 볼모나 다름없는 상태로 황위에 있는 순현친왕 쪽이 다루기 쉽다는 계산에서였다. 하지만 서태후의 권력 독점은 청제국의 몰락의 신호탄이 되었다.
서태후는 첫 위기부터 제대로 수습하지 못했다. 프랑스와의 전쟁을 전적으로 두 나라의 문제로 간주한 다른 열강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취했는데, 이때 청나라의 군사들과 백성들은 단결하여 놀라운 투지를 발휘해서 근대적인 프랑스군을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전쟁을 주도하고 있었다. 이런 와중에 서태후는 갑자기 이홍장에게 서둘러 종전 협상을 벌이도록 지시했다. 비록 이 전쟁에서 청나라의 궁극적인 승리를 원하지 않았던 서구 열강의 입장을 고려한 것이라고 해도 자신의 안위, 자신과 서구 제국과의 관계만을 생각해 이기고 있는 전쟁에서 굴욕적인 협상을 선택한 것이다. 그녀에게는 자신의 권력이 민족적인 자긍심보다 우선이었던 것이다. 이 전쟁의 여파로 서태후는 민중들로부터의 신망을 잃게 되었지만, 달콤한 권력의 맛에 빠진 그녀는 이 점을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
그녀는 끼니마다 100가지의 요리를 차리도록 했다. 그러니 매일 그녀의 식비로만 은화 200냥이 지출되었는데, 당시 서민들 100명의 월급에 해당하는 금액이 하루의 식비로 책정된 것이다. 또한 프랑스와의 전쟁이 클라이맥스에 있을 때, 서태후는 거금을 들여 자신의 거처인 저수궁을 신축했다. 또한 자신의 은퇴를 위해 광서제에게 명 왕조부터 조성되어 있던 황실의 휴양지인 서원西苑을 대대적으로 확장해 줄 것을 요구했다. 서태후의 은퇴 이후를 대비한 건설공사에 당시 북양대신北洋大臣 이홍장은 혼신의 노력으로 확보한 북양함대에 투입된 비용의 4배 이상을 지출해야 했다. 이 부담은 훗날 청일전쟁의 참패를 가져오게 되었다.
1895년은 서태후가 환갑을 맞이하는 해였다. 2년 전부터 거국적으로 행사 준비를 하였지만 이해 청일전쟁이 발발하였다. 이홍장의 북양함대는 일본 해군의 기습을 받아 전멸하였고, 일본군이 대련항에 상륙해서 대대적인 민간인 살육과 약탈행위를 벌이고 있는 동안, 서태후는 청나라 역사상 가장 호화스러운 축하연을 그것도 3일 동안이나 즐기고 있었다. 청일전쟁에서 당한 참패는 전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다. 거액의 전쟁 배상금과 함께 요동반도까지 일본에 할양하는 조건으로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했다. 비록 요동반도는 러시아, 독일, 프랑스의 삼국간섭으로 돌려받았지만 백성들은 분노했다. 이제 민중들은 청나라를 도와 서양을 물리치자는 부청멸양扶淸滅洋의 기치를 내걸고 의화단義和團운동을 전개하였다. 중국의 민중은 이 패전을 계기로 각성하기 시작했지만, 당연히 패전의 책임을 져야 하는 서태후는 각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서태후에 대한 역사의 평가
광서 11년에 황제는 열다섯 살이 되었다. 청나라 황실의 전통에 따르면, 이 시기가 되면 당연히 수렴청정을 거두어야 했다. 하지만 훈정訓政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정치에 관여하던 서태후는 광서제가 장성해서 혼례를 치른 이후에도, 또 그 이후에도 계속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자신이 직접 재가를 하고 있었다. 청일전쟁 당시 광서제의 나이는 스물네 살이었다. 그는 열혈청년이었다. 황제의 권위에 대한 의식도 뚜렷했고 백성들에 대한 애정도 강했던 이상주의자였다. 다만 그 이상을 실천할 만한 실질적인 권력이 없는 것이 문제였다. 광서 24년인 1898년 황제는 강유위康有爲, 양계초梁啓超, 담사동譚嗣同과 같은 개혁주의자들을 중용하면서 자신의 이름으로 변법變法에 대한 조서를 발표했다.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본뜬 급진적인 무술변법자강운동戊戌變法自疆運動이었다. 하지만 이 개혁은 불과 100일 만에 좌절되었다. 서태후는 야심가인 위안스카이遠世凱를 움직여 쿠데타를 일으켜 개혁파를 모두 숙청하고, 광서제를 삼해三海(자금성 서쪽의 황실 정원) 가운데에 위치한 조그마한 섬 영대瀛臺에 감금해 버렸다. 서태후는 또 다시 훈정을 선포하고 광서제를 폐위시키려 했지만, 지방의 총독과 순무, 그리고 외국 사신들의 반대로 단왕 재의의 아들 부준을 황태자로 삼는 데 그쳤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이 확산될 당시, 서태후는 진압 명령을 내렸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마지못해 진압에서 회유로 정책을 바꾸었다. 또한 의화단의 반제국주의 애국 열정을 이용해 대외 전쟁을 선포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일종의 도박이었다. 이런 선전포고는 서구 열강의 힘으로 의화단을 분쇄하려는 비열한 노림수였다. 청군과 의화단은 연합해서 서구의 군대와 전면전을 벌일 것처럼 보였지만, 그 전에 밀사를 각국 공사관으로 파견하여 공사관을 보호할 것을 확약하고 경친왕과 이홍장을 시켜 서양 연합군과의 화의를 교섭하게 했다. 7월 20일 8개국 연합군이 북경을 공격해 오자, 21일 서태후는 변장한 채 광서제만 데리고 서안西安으로 도피하면서 다시 의화단 진압 명령을 내렸던 것이다.
1901년 신축년에 독일, 오스트리아, 벨기에, 스페인,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의 국가와 신축조약을 맺고 각 국에 4억 5천 냥을 배상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재정원인 관세와 염세鹽稅는 모두 차압당했고, 외국군이 주요 도시에 진주하게 되었다. 이런 중에 광서제는 영대에 또다시 감금되었고, 서태후는 예전의 호사스럽고 안락한 생활로 돌아갔다. 한편 그동안의 쇄국정책 노선을 변경하여 근대화 작업에 착수하기 시작했는데, 만주족과 한족의 혼가混嫁를 허용하였고 여인들의 전족纏足을 금지시켰다. 남자들의 단발이 허락되었고 인신매매와 아편을 금지한다는 등의 각종 개혁내용이 속속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너무 늦은 것이었다. 영대에 감금되어 산송장처럼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던 비운의 황제 광서제는 유폐 10년 만인 1908년 무신년 11월 14일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하였다. 이에 서태후는 순친왕醇親王 재풍의 세 살 먹은 아들 부의溥儀를 선통제宣統帝로 세웠다. 세 번째 수렴청정을 시도하기 위해서였지만, 그녀는 광서제를 따라가듯 자신처럼 여인이 정사에 관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유조를 남기고 이튿날인 11월 15일 오후 5시 지병인 이질로 사망하였다. 향년 74세.
서태후의 장례는 120만 냥에 달하는 금액을 들여 성대하게 치러졌고 수천 명의 사람이 동원되었다. 이후 청나라는 신해혁명에 의해 1912년 2월 12일 종말을 고했다. 이는 대청제국 뿐 아니라 동양의 제왕문화가 막을 내리는 순간이기도 했다. 서태후가 권력을 잡고 있던 기간은 48년으로 청 제국 268년 역사에서 보면 짧지 않은 기간이었다. 권력을 독점했던 기간도 무려 28년이나 되었다. 실질적으로 청제국의 마지막 통치자였던 서태후西太后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당唐제국의 측천무후와 비교되는 인물이다. 그렇지만 측천무후가 ‘사악한 찬탈자’인 동시에 ‘훌륭한 통치자’였던 반면, 서태후는 ‘사악한 찬탈자’라는 점은 마찬가지였지만 국익보다는 자신의 권력과 개인적인 사치에 우선한 ‘탐욕스러운 통치자’였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서태후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아직 진행 중이다. 일단 그녀로 인해 청 제국의 붕괴가 가속화되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긴 하다. 천박하고 덕이 없는 부녀자가 중국의 운명을 50여 년간 손아귀에 쥐고 있었다거나 원래 여우같은 외모에 범과 이리 같은 마음을 가진 악독하고 무지막지한 여자라는 혹평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녀로 인해서 왕조의 몰락이 반세기 정도 늦춰졌다는 견해도 있다. 즉 서태후는 동치중흥이라는 역사적 시기에 있어서 동치중흥을 이끈 사람 중 한 명이었고, 부녀자 해방 문제에 대해서도 진취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만주족과 한족을 평등하게 대해 국초부터 제약하던 통혼을 허락하게 한다든지 여성의 인권을 유린하는 전족을 금지하게 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 강조되는 입장이다. 또한 광서제 유폐 후에는 진심이었든 부득이한 것이었든 개혁정치를 표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제 개편, 학당 설립, 군사제도 개편, 상업과 광산업 추진 그리고 1916년에 입헌군주제 실시를 공개적으로 선포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사람을 대할 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측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50여 년간 노련한 정치인으로 살았던 서태후. 그녀가 자신의 능력과 권력을 사욕을 채우는 일보다는 좀 더 공적인 일에 사용하였다면, 자신이 세운 동치제나 광서제와 협력하여 나라의 중흥을 이끌었다면 그녀에 대한 평가는 사뭇 달라지지 않았을까?
미완성의 개혁, 무술 변법자강운동과 그 주역들
일반적으로 무술변법자강운동戊戌變法自彊運動은 여론에 밀린 광서제가 캉유웨이를 접견한 후 일련의 개혁조치를 선포했으나 보수파의 반대로 100일만에 실패로 돌아간 개혁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중국의 반체제 인사이자 학자인 류샤오보劉曉波(Liu Xiao Bo)는 캉유웨이가 무술변법을 주도했다는 것은 역사적 오류이며, 무술변법을 단순히 여론에 의한 정치적 변화로 해석하는 것 또한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무술변법자강운동은 1895년 5월 8일 청일전쟁에서 완패한 뒤 맺어진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의 비준이 끝난 3일 뒤부터이며 변법을 주도한 사람은 광서제였다고 주장한다.광서제는 일찍이 새로운 사조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에 항거할 힘이 없는 청나라의 나약함에 무거운 자책감을 느껴 1895년 5월 11일 와신상담의 각오로 옛것을 몰아내고 새로운 것을 수용하겠다는 칙령을 공포하였다. 이런 위로부터의 개혁은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대되어 1898년까지 문화, 교육, 경제, 행정, 군사 분야에서 추진되었다. 즉 광서제는 3년간에 걸쳐 개혁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고, 이 개혁의 속도를 빠르게 하려다가 오히려 역풍을 맞고 실패로 돌아가게 된 것이다.
구사회제도가 너무나 견고하고 보수 세력이 너무 강한 데에 비해, 황제를 지지하는 변법파는 정치세력이 너무나 미약하였고, 광서제와 서태후라는 이중적 권력구조로 미완에 그치고 만 것이다. 서태후는 여전히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고, 광서제는 아직 황권을 구축하지 못했다. 여기에 보수적인 군기처와 병권을 장악하고 있던 직예총독 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했다. 더구나 광서제는 보수파의 중심인물인 예부상서 이하 6명의 고위관료를 모두 파면하여 서태후의 심기를 거슬렀다. 서태후는 1889년 광서제의 혼례 후 공식적으로 수렴청정을 거두었지만 계속 배후에서 실력행사를 하였다. 광서제의 생모는 아니지만 정식 모후였고, 효를 으뜸으로 여기는 황실에서 모후의 명을 어길 수는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광서제는 총리아문의 수반인 경친왕 혁광奕劻(부정축재 등으로 청나라 멸망을 이끈 인물)을 통해 자신에게 전권을 줄 것인지 아니면 퇴위시킬지를 선택하라고 서태후에게 강요하였다고 한다. 이에 서태후는 격노하여 광서제를 퇴위시키려 했으나, 경친왕의 중재로 잠시 전권을 주고 상황을 보도록 방침을 정했다. 이때 광서제는 탄스퉁 등으로 하여금 신정新政을 주관하게 하고 캉유웨이를 접견하면서 개혁에 박차를 가하였다. 하지만 이런 개혁은 부패한 관료계층과 사회 기득권 세력의 촉각을 건드리게 되었다. 드디어 보수세력은 반격태세를 갖추기 시작했다. 서태후는 먼저 광서제가 가장 신임했던 옹동화(캉유웨이를 광서제에게 소개한 이로 광서제의 사부이며 호부상서 겸 군기대신이었는데 국가의 장래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출세를 위해 변법자강을 추진한 관료였다)를 파면시켰다. 이는 광서제 편에 서서 서태후에게 중재해줄 사람이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어서 2품 이상의 대신들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권을 장악함으로써 모든 조정대신들의 인사 여탈권을 손에 쥐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심복인 영록을 직강총독으로 임명하였고, 형부상서 숭례崇禮를 보군통령에 임명하여 수도경찰권을 장악하였다. 이렇게 압살할 준비를 갖춘 서태후는 변법자강 세력을 일거에 제압하고 광서제를 유폐시켜 버렸다.
무술변법자강운동은 비록 그 정치적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는 실패하였지만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중국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다양한 서구의 사상과 가치관이 중국 지식층에게 소개되었고, 많은 학교 설립으로 교과과정을 개정하고 새로운 사상을 소개하였다. 이런 새로운 지식과 사상을 전파하는데 강학회 같은 민간조직이 앞장섰다. 후일 광서제가 실시하려던 개혁은 멸망 위기에 직면한 시기에 서태후에 의해 신정개혁으로 반영되었다. 이어서 광서제를 도와 변법자강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캉유웨이康有爲 (1856~1927)
광둥성의 남해현 향신鄕紳(지주 출신의 과거합격자들로 지방행정의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함)으로 공양학을 연구했다. 공양학은 오경 중 『춘추』의 3개 주석서 중 공양전公羊傳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공양전은 『춘추』를 정치 이론서로 해석한 주석서로, 공양학은 말의 표현에 드러나 있지 않은 언외言外의 위대한 뜻을 발견하려는 경향이 짙어 해석자에 따라 다양한 이론을 제기할 여지가 많았다. 이런 학풍은 명백한 근거에 의거하여 논리를 전개하는 고증학에 뚜렷하게 이반되는 것이었다. 캉유웨이는 1882년 실시한 향시에 실패한 뒤 귀향길에 상해를 방문하여 영국과 프랑스의 조계지를 유람하면서 서양문명의 발전을 보고 변법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했다.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서는 군사에 한정된 양무자강운동이 아니라, 전 영역의 제도를 개혁해야 한다고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홍장과 대립하는 옹동화에게 편지를 보내 변법유신의 불가피성을 논하였고, 광서제에게 정치개혁과 인재선발의 중요성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1891년에 만목초당을 설립하여 교육활동을 하였는데, 여기에 변법운동과 입헌운동의 주역들이 수학하게 되었다. 그는 『대동서大同書』에서 역사발전 단계를 혼란의 시대인 거란據亂, 평화로 향하는 시대인 승평昇平, 그리고 평화의 시대인 대동大同으로 구분하고, 거란시대는 전제군주가 통치하는 시대이고 승평시대는 입헌군주가 지배하는 시대이며 대동시대는 공화정 시대라는 설명과 함께 당시는 승평시대라 규정하는 진보론을 제시하였다. 한편 국가가 주도하여 공업을 발전시켜야만 가난과 낙후된 생활로부터 벗어나 부강하게 될 수 있다고 인식하여 국가의 부뿐만이 아니라 국민의 생활수준까지 향상시켜야 한다는 ‘부국양민富國養民’을 주장하였다.
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
자가 탁여卓如이고 호는 임공任公으로 광둥성 사람이다. 캉유웨이를 도와 변법자강운동을 적극 추진한 사상가로 기술개혁에 앞서 정치개혁이 선행되어야 하며 정치개혁의 관건은 교육제도의 철저한 개혁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민중에게 글을 가르치고 지식을 보급하기 위하여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전국적으로 학교를 건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서양의 정치경제제도와 사상을 받아들이는 한편 본래 중국의 학문을 강조하여, 서구문명에서 우수한 것들만 선택하여 받아들일 것을 주장했다.
탄스퉁譚嗣同 (1865~1898)
자가 복생復生이고 호는 장비壯飛로 후난성 사람이다. 물리와 수학에 관심을 가졌는데, 뛰어난 안목과 지각력을 발휘하여 동서사상을 융합하고자 하였다. 서양에 대한 인식은 관망자에서 문화상대론자로, 그리고 보편주의자로 바뀌었다. 또한 대승불교의 영향을 받아 죽음에 대해 초연한 자세를 가지고 개혁을 위해 기꺼이 생명을 바칠 각오가 되어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증산도 도전』 (대원출판, 2003)
『역주 환단고기』 (안경전, 상생출판, 2012)
『증산도의 진리』 (안경전, 상생출판, 2014)
『자금성 이야기』 (이리에 요코 지음, 서은숙 옮김, 돌베개, 2014)
『제왕과 책사』 (렁청진지음, 박광희 옮김, 다산초당, 2012)
『서태후의 인간경영학』 (리아오, 강성애 옮김, 지식여행, 2008)
『청나라, 제국의 황제들』 (옌 총니엔 지음, 장성철 옮김, 산수야, 2014)
『청사-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1)
『글로벌 CEO누르하치』 (전경일, 삼성경제연구소, 2005)
주1. 황극신皇極神은 이 세계의 중심이 되는 제왕에게 응기應氣된 신으로 당시 청제국 광서제에 응기되어 있었다. 본래 천자국인 조선이 중국을 천자국으로 받들며 조공을 바치고 소중화小中華를 자처했기 때문에 황극신이 중국 황제에게 응기된 것이다. 황극은 우주가 변화하는 작용의 중심이요, 인사적으로는 세상 역사의 중심에서 천하를 다스리는 통치자를 말한다. 상제님께서 후천 통일문명시대를 여시기 위해 그 신명을 부른 공사를 행하심에 따라 광서제는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고, 이후 해원을 위한 과도기 정치체제인 민주주의가 왕정을 대신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주2. 태자밀건법太子密建法 청나라 제5대 황제 세종 옹정제는 즉위하자 바로 자신이 즉위하기까지의 황위 싸움을 뒤돌아보고 일찍부터 황태자를 정해놓으면 황태자를 둘러싼 당파싸움이 일어나고, 또 황태자가 교만해진다고 하여 황태자를 공표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래서 다음 황위를 계승할 황태자 이름을 써서 건청궁乾淸宮에 있는 정대광명正大光明 편액 뒤에 숨겨두고 내무부內務府에 밀지密旨를 간직하였다가 황제가 죽은 후에 개봉하여 밀지와 실물을 맞추는 방법을 정해 놓았다. 이 태자밀건법의 마지막 승계자는 제9대 황제인 함풍제였다.
주3. 무술변법이 있기 한 해 전인 1897년 10월 12일, 조선의 고종은 상제님의 천명을 받아 환구단을 세우고 상제님께 천제를 올리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며 천자국의 위상을 회복한다. 천자국으로 복원된 1897년 정유년에 천자문화의 국통맥이 바로서고 황극신의 기운이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주4. 양무운동洋務運動 19세기 당시 청나라는 밖으로는 아편전쟁, 애로호 사건 등으로 여지없이 약체를 드러냈고, 안으로는 태평천국의 난으로 위기에 빠져 있었다. 이에 증국번, 이홍장 등 관료들이 중심이 되어 군사 중심의 근대화운동을 벌였는데 이를 양무운동이라 한다. 양무洋務는 청과 서양 여러 나라의 관계 교류를 일컫는 말이다.
주5. 팔기군八旗軍 사냥은 오랫동안 여진족의 생업이었다. 단순히 짐승을 잡던 사냥에서 군사적 의미를 찾아내 조직한 이는 누르하치였다. 평소의 생업 수단이 군사조직으로 발전하여 대륙 전체를 손아귀에 넣게 되는 핵심경쟁력으로 부상한다. 여진족은 사냥을 하거나 전쟁을 할 때 마을단위나 부족단위로 행동했다. 성공적인 사냥을 위해서 참가자들을 지휘할 수 있는 리더와 조직이 필수요소였다. 그래서 여진인들은 10명이 각각 화살을 한 대씩 내놓아 그 가운데 제비 뽑힌 화살 임자를 총령總領으로 세우고, 그의 지시에 따라 나머지 9명은 출전 혹은 사냥을 일사불란하게 수행하였다.
이 총령을 니루어전(Niru-i-ejen 우록액진牛彔額眞: 여기서 우록은 큰 화살, 액진은 주인을 뜻함)이라고 부른다. 팔기는 이처럼 수렵의 기본단위인 니루(niru)에서 시작한다. 니루는 남자 300명으로 5니루를 1잘라(jala), 5잘라를 1구사(gusa, 기旗), 즉 1기(7500명)로 한다. 처음에는 음양오행의 상징인 황黃, 백白, 홍紅, 남색藍의 깃발로 구분하였다. 그뒤 4기가 보태져 8기가 되었다. 기존의 4기는 바를 정正자를 써서 정황기, 정백기, 정홍기, 정남기라 하였고, 나머지 4기는 홍색의 테를 둘러(홍기에는 백색의 테를 둘렀다) 각기 양황기鑲黃旗, 양백기鑲白旗, 양남기鑲藍旗, 양홍기鑲紅旗라 했다. 만주 8기, 6만 명의 제도는 이렇게 해서 생겨났고 이 조직이 대륙을 집어삼킨 것이다.
만주족은 누구든 어느 깃발에든 소속되어야 했다. 군대의 동원과 통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전 부족을 조직화한 것이며, 팔기는 군민일체軍民一體의 제도이자 행정조직으로 세금과 부역을 납부하는 사회경제 조직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만주족을 기인旗人이라고 불렀고, 만주족 스스로도 ‘정황기인 사람’, ‘양백기인 사람’하는 식으로 소속을 불렀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사공을 지낸 왕량 장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정관의 치라 불리우는 위징과 당태종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민족사학을 바로 세운 미수 허목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왜 주회암은 흠잡을 데가 없다고 하셨는가?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모든 창생들이 신선되길 바랬던 여동빈 呂洞賓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천하경륜의 대도를 세워 만세에 은덕을 베푼 강태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최익현의 일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우암 송시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한 광무제(光武帝)를 도와 난세를 바로잡은 경감장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범절을 확립한 유가의 창시자 공자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동방 단가문자를 집대성한 권극중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우주의 시간법칙을 밝힌 소강절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유불선의 뿌리, 신교를 밝힌 고운 최치원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광무제와 28장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최풍헌과 임진왜란에 얽힌 이야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소하의 덕과 '언덕(言德)’의 진정한 의미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안될 일을 되게 한 손빈의 지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배은망덕으로 나라를 그르친 대죄인, 안록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만고명장 전명숙全明淑의 큰 공덕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불운한 천재 구봉 송익필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입산 3일에 천하의 모든 일을 알게 된 정북창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가을우주의 이치를 밝힌 '정역正易'과 김일부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중국의 실질적 마지막 황제, 광서제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인간으로 오신 하느님을 가장 먼저 모신 백복남 성도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지상과 천상에서 무한한 공덕을 쌓은 이마두利瑪竇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관운장의 정의로운 삶과 운장주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인류문명의 새벽을 연 한민족의 시조, 태호복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상제님의 강세를 전한 죄수운 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미륵불 강세한 준비한 진표율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성인열전]-의로움의 상징 관운장(關雲長)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천하를 경영한 인물의 표상 강태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동서양 문화를 하나로 연 위대한 종교인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조선의 주자(朱子)가 되기를 꿈꾼, 우암 송시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상제님의 강세와 새 시대의 도래를 알린 최수운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선교의 맥을 이은 장군 강감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미륵님을 세상에 전한 진표眞表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선농단에서 경농의 신, 신농씨를 만나다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독립의사 안중근(安重根)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를 잇는 개척開拓과 창업創業 주周 문왕과 무왕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용인술의 천재 유 씨네 막둥이의 득천하기得天下記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삼국시절이 돌아갈 곳을 안 한 사람, 사마소司馬昭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정관성세를 연 범안간쟁(주1)의 화신, 위징魏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구도인의 표상 진표眞表의 미륵불 친견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신유학을 완성한 진정한 스승, 주회암朱晦庵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천선경 건설의 대문명신大文明神 진묵대사震默大師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후천 지상선경 건설의 주벽 절대신앙의 화신 마테오 리치 대성사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비운의 천재 용호대사 정북창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격랑 속의 초인, 대한남아의 기개를 떨친 안중근安重根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시천주侍天主 시대를 연 동학東學 교조, 대신사 수운 최제우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백성을 위해 한번 죽기로 맹세한 백의한사 전명숙(주1), 만고명장이 되다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역사의 뒤안길에 가려진 비운의 천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황혼의 제국에 드리워진 빛의 실마리 청나라 광서제光緖帝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1)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2)
'증산도 도전(道典) > [도전 탐구] 도전 속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하를 얻었으나 지키는 법을 몰랐던 폭군 진시황秦始皇 (0) | 2017.02.17 |
---|---|
핏빛 원한의 진혼곡의 시작 ‘단주수명’丹朱受命의 단주대종丹朱大宗 (0) | 2016.08.02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2) (0) | 2016.07.24 |
대한제국 고종 광무제高宗(1) (0) | 2016.07.24 |
역사의 뒤안길에 가려진 비운의 천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0) | 2016.04.25 |
백성을 위해 한번 죽기로 맹세한 백의한사 전명숙(주1), 만고명장이 되다 (0) | 2016.03.11 |
시천주侍天主 시대를 연 동학東學 교조, 대신사 수운 최제우 (0) | 2016.01.26 |
격랑 속의 초인, 대한남아의 기개를 떨친 안중근安重根 (0) | 2016.01.26 |
비운의 천재 용호대사 정북창 (0) | 2016.01.26 |
후천 지상선경 건설의 주벽 절대신앙의 화신 마테오 리치 대성사 (0) | 2015.11.23 |